수도권매립지 재생에너지시설 전경. 사진/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2025.11.05.
국문 기사
◆ 2026년 1월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선별·소각 후 매립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에 2026년 1월 1일부터 인천·경기·서울에서 들어오는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된다. 17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인천시·경기도·서울시 등 4자협의체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내년 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종량제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은 선별해 재활용하거나 소각한 뒤, 소각재만 수도권매립지 등에 매립할 수 있다. 환경부는 3개 시·도와 함께 생활폐기물 수거 지연이나 적체 상황 등을 예방하기 위해 기초지자체별 준비 상황 점검에 나선다.
◆ 올해 말까지 예외적 허용 기준 마련, 독소 조항 우려 제기
4자 협의체가 올해 안까지 예외적 허용 기준을 마련하기로 해 독소 조항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21년 개정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는 '소각시설 설치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확정된 경우 환경부 장관이 1년 범위 안에서 시행을 유예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이 있다. 이 같은 단서 조항에서 일부 지자체만 직매립 금지 유예를 허용해주거나 구체적인 계획에 해당하는 행정절차를 완화할 경우 사실상 직매립 금지 제도가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시민단체·인천시 "예외 기준 신중히 마련해야"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환경부와 경기도, 서울시가 내년부터 직매립 금지를 합의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이는 자원순환정책의 하나이자 원인자 부담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예외적 허용 기준을 어디까지 볼 것인지는 정확한 판단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단서 조항의 기준을 너무 낮춘다면 제도 시행의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시 관계자는 "내년부터 수도권매립지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지켜온 만큼, 이번 합의를 존중한다"며 "다만 예외적 허용 기준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류홍근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Direct Landfill of Household Waste Banned at Metropolitan Landfill Site from 2026...Exception Criteria Controvers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ree cities agreed on direct landfill ban, but concerns over 'toxic clause' remain
◆ Direct landfill of household waste banned from January 2026, landfill only after sorting and incineration
Direct landfill of household waste coming from Incheon, Gyeonggi, and Seoul to the Metropolitan Landfill Site in Seo-gu, Incheon will be banned from January 1, 2026.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the 17th, the four-party consultative body consisting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City, Gyeonggi Province, and Seoul City agreed at the Government Seoul Office to ban direct landfill of household waste at the Metropolitan Landfill Site from January 1 next year. Accordingly, from next year, household waste contained in volume-based garbage bags can only be landfilled after sorting for recycling or incineration, with only incineration ash allowed in the Metropolitan Landfill Sit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ill inspect preparation status by basic local governments together with the three cities and provinces to prevent delays or backlogs in household waste collection.
◆ Exception criteria to be prepared by end of year, concerns over toxic clause raised
Concerns over toxic clauses are being raised as the four-party consultative body agreed to prepare exception criteria by the end of this year.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Waste Management Act revised in 2021 include a proviso clause stating 'the Minister of Environment may defer implementation within one year if a specific plan for installing incineration facilities is confirmed.' Critics point out that if only some local governments are allowed to defer the direct landfill ban through this proviso clause or if administrative procedures corresponding to 'specific plans' are relaxed, the direct landfill ban system could become virtually meaningless.
◆ Civic groups and Incheon City say "Exception criteria must be carefully prepared"
Kim Song-won, Secretary General of Incheon Economic Justice Coalition, emphasized, "It is a natural result th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yeonggi Province, and Seoul City agreed on the direct landfill ban from next year," adding, "This is one of the resource circulation policies and follows the polluter pays principle." He continued, "However, there must be accurate judgment on how far to view the exception criteria," and added, "If the standards of the proviso clause are lowered too much, it could damage the purpose of implementing the system." An Incheon City official said, "As we have maintained the position that direct landfill of household waste at the Metropolitan Landfill Site should be banned from next year, we respect this agreement," adding, "However, we plan to discuss the exception criteria in depth."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