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지방정원 '새로숲' 공식 명명, 17일 안산에서 착공
경기도는 11월 17일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에서 경기지방정원 조성공사 착공식을 열고 정원의 공식 이름을 '새로숲'으로 선포했다. '새로숲'은 '새로운 숲'과 '다시 태어나는 자연'의 의미를 담는다. 경기도는 과거 폐기물의 상징이었던 안산시화쓰레기매립지를 생태문화의 거점으로 전환한다는 의지를 이름에 담았다.
◆ 1987년부터 1992년까지 매립지…2016년 폐쇄 후 정원 조성
부지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8개 시군의 생활쓰레기를 매립하던 장소였다. 1994년 매립이 종료된 후 2016년 사후관리를 마쳤다. 경기도는 총 989억원을 투입해 45만㎡ 규모로 경기지방정원을 조성한다. 2021년부터 행정절차와 설계를 진행했고, 17일부터 공사를 시작한다.
◆ 2026년 일부 개방, 2027년 전체 개원…정원-습지 연계 생태벨트 구축
1단계 개방은 2026년 4월로 계획된다. 정원 18만㎡와 안산갈대습지 40만㎡를 연계해 개방한다. 나머지 구역 정원시설과 센터 건축을 완료해 2027년 전체 개원한다. 경기도는 안산갈대습지, 화성비봉습지 등 인근 생태자원과 연계해 정원-습지-수변을 연결하는 복합 생태벨트를 구축할 예정이다.
◆ 정원지원센터·방문자센터 조성…교육·체험·휴식 복합 공간으로 운영
주요 시설은 정원지원센터, 방문자센터, 맞이정원, 감상정원, 휴식정원, 기후정원, 참여정원 등이다. 경기도는 단순 정원시설이 아니라 교육·체험·휴식이 가능한 복합정원으로 운영한다. '새로숲'은 '보는 정원'에서 '참여하고 경험하는 정원'으로 개념을 확장한다.
◆ 착공식에 200여명 참석…탄소제로 행사로 인증
착공식에는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안산시·경기도·경기시의원, 시민정원사, 도민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현장에서 구근식물을 직접 식재했다. 경기도는 착공식 행사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3톤만큼 산림탄소흡수량을 구입해 탄소중립 행사로 인증받았다. 3톤은 축구장 크기의 중부지방 소나무(10년생)가 1년간 흡수하는 양과 같다.
류홍근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Reborn as a New Forest… 'Saerosaup' Named and Construction Begins
◆ Gyeonggi Provincial Garden Officially Named 'Saerosaup,' Construction Launched November 17 in Ansan
Gyeonggi Province held a groundbreaking ceremony for the Gyeonggi Provincial Garden construction project on November 17 at Bono-dong, Sangrok-gu, Ansan-si, and officially announced the garden's name as 'Saerosaup.' 'Saerosaup' carries the meaning of 'a new forest' and 'nature reborn.' Gyeonggi Province embedded the intention to transform the former Ansan Sihwa landfill—once a symbol of waste—into an ecological and cultural hub.
◆ Landfill from 1987 to 1992…Closed in 2016, Garden Construction Underway
The site served as a landfill for household waste from eight municipalities between 1987 and 1992. Post-management concluded in 2016 after landfill operations ended in 1994. Gyeonggi Province invests 98.9 billion won to develop the Gyeonggi Provincial Garden spanning 450,000 square meters.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design work progressed from 2021, with construction commencing on November 17.
◆ Partial Opening in April 2026, Full Opening in 2027…Integrated Ecological Belt Connecting Garden-Wetland-Waterfront
Phase 1 opening is scheduled for April 2026, when the garden area of 180,000 square meters and the Ansan Reed Wetland of 400,000 square meters will open to the public. The province plans full opening in 2027 after completing remaining garden facilities and building centers. Gyeonggi Province will construct an integrated ecological belt linking garden-wetland-waterfront by connecting nearby ecological resources including Ansan Reed Wetland and Hwaseong Bibong Wetland.
◆ Garden Support Center and Visitor Center Established…Operated as Multipurpose Space for Education, Experience, and Recreation
Principal facilities include the Garden Support Center, Visitor Center, Welcome Garden, Appreciation Garden, Rest Garden, Climate Garden, and Participation Garden. Gyeonggi Province operates it as a comprehensive garden enabling education, experience, and recreation—not merely a garden facility. 'Saerosaup' expands the concept from 'a garden to view' to 'a garden to participate in and experience.'
◆ 200 Attendees at Groundbreaking…Event Certified as Carbon-Neutral
The groundbreaking ceremony drew over 200 attendees including Ko Young-in, Vice-Governor of Economy of Gyeonggi Province, members of Ansan City and Gyeonggi Provincial and City Councils, citizen gardeners, and residents. Attendees directly planted bulbous plants on site. Gyeonggi Province purchased forest carbon credits equivalent to 3 tons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the ceremony, earning certification as a carbon-neutral event. Three tons equals the annual carbon absorption of a Scots pine forest (10 years old) the size of a soccer field in central regions.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