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청사 전경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를 시만과 약속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 인천시 매립지정책과 "2025년 종료 약속한 바 없다"

인천시 매립지정책과 관계자는 "민선 8기 유정복 시장 임기에 2025년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종료 약속을 한 바 없다"며 "2025년 매립지 종료는 민선 7기 때 나온 얘기"라고 말했다.

유정복 시장의 공약은 임기인 2026년 내 대체매립지 쓰레기 반입 여건 조성이다. 시 관계자는 "임기 내인 2026년까지 쓰레기매립지 종료는 대체매립지 여건 조성일 뿐 실질적 반입 종료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 대체매립지 3차 공모 신청 지자체 '0곳'

환경부·인천시·서울시·경기도로 구성된 수도권매립지정책 4자 협의체는 2024년 3월 28일부터 6월 25일까지 대체매립지 입지 후보지 3차 공모를 진행했다. 공모는 2021년 두 차례 실패 후 3년 만에 진행됐다.

4자 협의체는 특별지원금 3000억원 인센티브를 제시했다. 1차 공모 대비 500억원을 늘렸다. 매립지 최소 면적 기준을 90만㎡에서 50만㎡로 축소했다. 민간도 공모 참여가 가능하도록 문턱을 낮췄다. 그러나 신청 지자체는 없었다.

◆ 서구 검단 주민 "시가 말 바꾸고 있다" 반발

수도권매립지는 1992년 인천 서구에 1600만㎡ 규모로 조성됐다. 서울·인천·경기 등 64개 시군구 쓰레기를 처리한다. 4자 협의체는 2015년 2025년까지 대체지를 찾는 조건으로 3-1매립장 한시 사용에 합의했다.

서구 검단 지역 주민단체는 시가 대체매립지 조성 어려움을 겪자 말을 바꾸고 있다고 반발 했다. 검단주민총연합회 백진기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넓은 면적에 쓰레기를 묻는 곳이 없다"고 지적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수도권매립지 영구사용 발언을 취소하고 매립지 종료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종룡 기자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nglish Article 1

Incheon City "Never Promised 2025 Closure of Metropolitan Landfill"...Resident Backlash

Third Public Offering for Alternative Landfill Fails, No Solution to 30-Year Waste Disposal Conflict

◆ Incheon City Landfill Policy Division "Never Promised 2025 Closure"

Incheon City stated it never promised to close the metropolitan landfill in 2025. An official from Incheon City's Landfill Policy Division said, "We never promised to close the metropolitan waste landfill in 2025 during the 8th popularly elected Mayor Yoo Jeong-bok's term," adding "The 2025 landfill closure was discussed during the 7th term."

Mayor Yoo's pledge is to create conditions for waste intake at an alternative landfill by 2026 during his term. A city official explained, "Closing the waste landfill by 2026 during the term means creating conditions for an alternative landfill, not actual termination of waste intake."

◆ Third Public Offering for Alternative Landfill Receives '0' Applications

The Metropolitan Landfill Policy 4-Party Consultative Body, composed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City,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conducted the third public offering for alternative landfill site candidates from March 28 to June 25, 2024. The offering was held three years after two failures in 2021.

The 4-party consultative body proposed incentives of 300 billion won in special support funds. This was 50 billion won more than the first offering. The minimum landfill area standard was reduced from 900,000㎡ to 500,000㎡. The threshold was lowered to allow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However, no local governments applied.

◆ Seo-gu Geomdan Residents Protest "City Is Changing Its Words"

The metropolitan landfill was established in 1992 in Seo-gu, Incheon with a size of 16 million㎡. It processes waste from 64 cities and count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4-party consultative body agreed in 2015 to temporarily use the 3-1 landfill on the condition of finding an alternative site by 2025.

Resident groups in Seo-gu Geomdan area announced large-scale rallies, claiming the city is changing its words due to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n alternative landfill. Baek Jin-ki, chairman of the Geomdan Residents' Federation,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place in the world that buries waste in such large areas." The Incheon Peace and Welfare Solidarity urged the city to "retract statements about permanent use of the metropolitan landfill and clearly present closure plans."

Reporter choi joung r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