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 범시민운동본부가 인천시청 브리핑룸 기자회견 현장 사진/인천경실련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2026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치의 유예를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제안한 가운데, 인천지역 시민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시민단체는 김 장관에게 공개 해명과 면담을 요구했다.
◆ "직매립 금지는 2021년 합의한 사회적 약속"
수도권매립지 문제해결 범시민운동본부는 10일 성명을 통해 "직매립 금지는 2021년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가 합의한 사회적 약속"이라며 "환경부가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 실패 책임을 회피하는 것도 모자라 정책을 후퇴시키려 한다"고 비판했다. 본부는 "서구 주민들은 30년 넘게 매립지로 인한 악취와 분진 등 환경 피해를 감내해왔다"며 "직매립 금지 유예는 수도권 자원순환 정책을 역행시키고, 4자 합의의 근간을 뒤집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2021년 7월 6일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 등이 종량제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을 선별이나 소각 없이 매립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확정해 공포했다. 2026년 1월 1일부터는 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거나 소각한 뒤 소각재만 매립이 가능하다.
◆ 김 장관, 소각장 확충 지연 이유로 유예 제안
김 장관은 최근 경기와 서울의 공공 소각장 확충 지연과 민간 소각장 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유 시장에게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제도의 유예를 제안했다. 본부는 환경부가 4자 합의가 이뤄진지 4년여가 지나 뒤늦게 정책 수행 의무를 하지 않는 것을 명백한 직무유기로 규정했다. 본부는 김 장관이 이번 직매립 금지 유예 제안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고, 인천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와 공개 면담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 "여야 막론 공동 대응 나서야"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인천 지역 국회의원과 지방의회 등은 여야를 막론하고 자원 순환 사회 실현을 위해 환경부의 직매립 금지 조치 유예 시도를 저지하는 등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천시는 생활폐기물 감량과 재활용 확대, 민간 소각업체와 협력체계 구축 등의 성과를 공유하는 등 내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직매립 금지가 이뤄지도록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한규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Incheon Civic Groups Strongly Oppose Proposal to Postpone Ban on Direct Landfill at Metropolitan Landfill
Demand Public Explanation and Meeting from Minister Kim Seong-hwan..."Overturning 4-Party Agreement" Criticism
[Current Affairs & News/Incheon] As Minister Kim Seong-hwan of the Ministry of Climate, Energy and Environment proposed to Incheon Mayor Yoo Jeong-bok to postpone the 2026 ban on direct landfill of household waste at the metropolitan landfill, local civic groups in Incheon are strongly protesting. The civic groups demanded public explanation and meeting from Minister Kim.
◆ "Direct Landfill Ban is Social Promise Agreed in 2021"
The Pan-Citizen Movement Headquarters for Solving Metropolitan Landfill Problems stated on the 10th, "The direct landfill ban is a social promise agreed up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re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2021," criticizing th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not only avoiding responsibility for failing to expand waste treatment facilities but also trying to reverse the policy." The headquarters claimed, "Residents of Seo-gu have endured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odors and dust from the landfill for over 30 years," adding "Postponing the direct landfill ban reverses the metropolitan resource circulation policy and overturns the foundation of the 4-party agree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firmed and announce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Waste Management Act on July 6, 2021, which prohibits Incheon City, Gyeonggi Province, and Seoul City from landfilling household waste in volume-based garbage bags without sorting or incineration. From January 1, 2026, only incineration ash can be landfilled after recycling or incinerating household waste.
◆ Minister Kim Proposes Postponement Due to Delayed Incinerator Expansion
Minister Kim recently proposed to Mayor Yoo to postpone the direct landfill ban system for metropolitan landfill household waste, citing delays in expanding public incinerators in Gyeonggi and Seoul and increased costs at private incinerators. The headquarters characteriz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failure to fulfill policy implementation obligations belatedly, more than four years after the 4-party agreement, as clear dereliction of duty. The headquarters urged Minister Kim to clarify his official position on this direct landfill ban postponement proposal and engage in public meetings with local residents and civic groups in Incheon.
◆ "Cross-Party Joint Response Needed"
Kim Song-won, Secretary General of Incheon CCEJ, stated,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local councils in the Incheon region, regardless of party affiliation, should engage in joint response to block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attempt to postpone the direct landfill ban to realize a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He added, "Incheon City shoul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ropolitan landfill direct landfill ban from next year by sharing achievements such as household waste reduction, expanded recycling, and establishing cooperative systems with private incineration companies."
[Reporter Kim Han-g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