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 도지사 상황실 점검. 사진/경기도

◆ 4개월 대책기간 운영, 제설 인프라 대폭 확충

경기도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간을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지정했다. 지난해 11월 대설 피해를 교훈 삼아 기후위기에 따른 이례적 대설과 극한 한파에 대비한다. 경기도는 1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2026년 겨울철 자연재난 대설·한파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경기도는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선제적 사전대비와 단계별 대응에 들어간다. 제설제 확보량은 전년도 대비 43% 증가한 21.4만 톤이다. 제설장비는 전년도 대비 39% 증가한 8,800여 대를 확보했다. 도는 특정 지역에 강설이 집중될 때 시군 제설제 부족을 대비해 2시간 내 지원 가능한 제설제 1만 톤을 별도 비축했다.

자율방재단 설지 . 사진/경기도

◆ 현장 중심 대응력 강화, 360° 스마트 영상센터 활용

비상1단계 발령 시 시군 본청 공무원 3,400여 명이 읍·면·동 현장에 직접 투입된다. 도로 제설작업은 물론 위험시설 통제와 대피 등 재난 대응활동을 지원한다. 특보 수준 이하의 기상예보에 '비상대비' 근무 단계를 새로 추가해 기상 변동성에 대비한다.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는 시군의 18만여 대 폐쇄회로티비(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적설 실황과 제설 작업 상황을 즉시 파악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도는 재해우려지역 1,500여 곳을 유형별로 분류해 중점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제설전진기지. 사진/경기도

◆ 인명피해 '제로화' 목표, 취약계층 보호 강화

도는 적설량별로 대피준비→대피권고→대피명령 단계를 운영해 인명피해 예방에 나선다. 기상특보에 따른 안전안내문자를 송출한다. 지난달부터 주거용비닐하우스, 전통시장, 축사 등 적설에 취약한 구조물 18종에 대해 시군과 합동 일제점검을 진행 중이다.

한파 쉼터는 지난해 7,934개에서 28개 증가한 7,962개를 운영한다. 도심 내 한파저감시설(방풍시설, 온열의자 등)은 지난해 8,052개에서 424개 증가한 8,476개를 확충했다.

취약 노인 6만 7천 명 대상으로 전담인력 4,600명이 안전확인을 실시한다. 노숙인 구호를 위한 거리 순찰반은 야간을 포함해 1일 1~3회 순찰한다. 도는 기후보험을 통해 한랭질환 상해 시 진단비를 지원한다.

피해 발생 시 올해 신설한 '특별지원구역' 제도와 '일상회복지원금'을 활용해 도민의 피해복구 체감도를 높인다. 도는 G버스 TV와 아파트 미디어보드 등을 통해 국민행동요령을 지속 홍보한다.

류홍근 기자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above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gi Province implements 'excessive response' to heavy snow and cold waves... 43% increase in snow removal materials

Strengthened field-centered response capabilities and protection of vulnerable groups in response to climate crisis

◆ Four-month disaster response period launched, snow removal infrastructure significantly expanded

Gyeonggi Province designated November 15 through March 15 of next year as a "winter natural disaster response period" spanning four months. Taking last November's heavy snow damage as a lesson, the province prepares for unprecedented heavy snow and extreme cold waves resulting from climate crisis. On the 13th, Gyeonggi Province announced the "2025~2026 Winter Natural Disaster Heavy Snow and Cold Wave Comprehensive Plan."

Gyeonggi Province adopts "excessive response" as its principle for proactive advance preparation and staged response. The province secured 214,000 tons of snow removal materials—a 43%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Snow removal equipment reached approximately 8,800 units, a 39% increase. The province stockpiled an additional 10,000 tons of snow removal materials available for support within two hours to address potential shortages in specific areas during concentrated snowfall.

◆ Field-centered response capability strengthened through 360° smart surveillance center

When emergency level 1 is declared, approximately 3,400 civil servants from municipal and county government headquarters deploy directly to field offices. They assist in snow removal operations and emergency control and evacuation at high-risk facilities. The province added a new "emergency standby" duty stage for weather forecasts below special alert levels to prepare for weather variability.

The 'Gyeonggi Province 360° Smart Surveillance Center' monitors images from approximately 180,000 closed-circuit televisions (CCTVs) across municipalities in real time. It identifies snow conditions and snow removal operations immediately to minimize blind spots. The province classified approximately 1,500 disaster-vulnerable areas by type and established a focused monitoring system.

◆ Targeting 'zero' deaths and casualties while strengthening protec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The province operates evacuation stages—evacuation preparation → evacuation recommendation → evacuation order—based on snowfall levels to prevent casualties. It sends safety alert text messages according to weather alerts. Since last month, the province has conducted joint inspections with municipalities on 18 types of structures vulnerable to heavy snow, including residential vinyl houses, traditional markets, and livestock facilities.

The province operates 7,962 cold wave shelters, an increase of 28 from the previous year's 7,934. Urban cold wave reduction facilities (wind shields, heated seats, etc.) increased by 424 units to 8,476 from 8,052 the previous year.

Dedicated personnel of 4,600 conduct safety checks for 67,000 vulnerable elderly residents. Street patrols for homeless assistance conduct 1~3 patrols daily, including nighttime. The province supports diagnostic fees for cold-related injuries through climate insurance.

When damage occurs, the province activates the "special support zone" system and "daily recovery support fund"—both established this year—to increase residents' perceived benefit from damage recovery. The province continuously promotes public safety guidelines through G-Bus TV and apartment media boards.

Reporter: 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