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진(왼쪽 두 번째) 인천 서구의원. 사진/서구의회
국문 기사
◆현장 점검 및 제도 전환
인천 서구의회 김원진 기획행정위원장(더불어민주당·서구가)은 11월 5일 서구청 노인장애인과와 검단노인복지관이 1년간 진행한 ‘시니어행복밥상’ 노인 일자리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개선 사항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기존 공익형 일자리보다 노동 강도가 높고 환경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을 꾸준히 지적하며, 제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사업 내용 및 현장 운영
서구청 노인장애인과와 검단노인복지관은 시범사업으로 기존 공익형에서 역량형 일자리로 전환해 4개 경로당(청라광명메이루즈, 북청라하우스토리, 삼보해피하임 2차, 시천경로당)에서 주5일 근무 체계로 운영하고 있다. 참여 어르신은 식사 준비·배식, 식생활 관리, 경로당 환경 개선 업무를 수행하며, 사업은 노인의 사회 참여와 지역 공동체 활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참여 확대 및 향후 계획
김 위원장은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시니어행복밥상 사업의 역량형 일자리 확대와 예산 지원,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사업 전환 후 참여 희망 수요가 크게 늘었고, 어르신 건강권과 안정적 일자리를 보장하기 위해 역량형 모델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룡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Field Inspection and Program Transition
On November 5, Kim Won-jin, Chair of th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of the Incheon Seo-gu Council (Democratic Party, Seo-gu A), participated in the ‘Senior Happiness Meal’ senior job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for one year by the Seo-gu Office of Senior and Disabled Affairs and the Geomdan Senior Welfare Center. He listened to on-site opinions and requested improvements. Chair Kim has consistently highlighted that the public-type senior jobs have high labor intensity and poor working conditions, emphasizing the need for program improvement.
◆Program Details and On-site Operation
The Seo-gu Office of Senior and Disabled Affairs and the Geomdan Senior Welfare Center piloted a transition from public-type to capacity-type senior jobs. Four senior centers (Cheongna Gwangmyeong Meyrooze, Bukcheongna Howstory, Sambo Happyheim 2nd, and Sicheon Senior Center) operate on a 5-day workweek schedule. Participants prepare and serve meals, manage seniors’ dietary needs, and improve senior center environments,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and regional community vitality.
◆Participation Expansion and Future Plans
Based on on-site feedback, Chair Kim plans to actively expand the capacity-type senior job program, provide budget support, and implement system improvements. He emphasized that “after the transition, demand for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Expanding the capacity-type model ensures seniors’ health rights and stable employment.”
Reporter Choi Jong-r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