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 특수교육 개선 공청회’ 개최. 사진/인천광역시교육청 제공
국문 기사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3일 샤펠드미앙에서 교직원, 학생, 학부모, 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 특수교육 개선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 2월 15개 특수교육 관련 단체가 공동 합의한 ‘인천 특수교육 9대 개선 과제 및 33개 세부과제’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모두를 위한 포용적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좌장은 가톨릭대학교 김라경 교수가 맡았으며, 특수교육 현안 및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표와 전문가 토론이 이어졌다. 발표에서는 인천 특수교육 개선 과제의 이행 현황과 ‘인천형 특수교육 지원체계’ 연구 결과가 제시됐고, 이어진 토론에는 현장 특수교사와 인천장애인부모연대, 인천장애인교육권연대 등 관련 단체 대표 5명이 참여해 학교 현장의 현실과 필요한 정책지원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도성훈 교육감은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현장을 중심으로 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모두가 존중받는 포용적 교육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교육청은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종합해 ‘인천 특수교육 발전 2개년 계획(가칭)’을 수립하고, 현장 중심의 특수교육 정책 기조를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
류홍근 기자
English Articl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olds Public Hearing on Special Education Reform
— Reviews 9 Key Tasks and Explores Strategies for Inclusive Education**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Do Sung-hoon) held a public hearing on special education reform on the 3rd at Chapelle de Miang, with more than 150 participants, including educators,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The hearing was organized to review the progress of the “Nine Key Special Education Reform Tasks and 33 Detailed Action Items,” jointly agreed upon in February by 15 special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to discuss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 more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ession was chaired by Professor Kim Ra-kyung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featured presentations and panel discussions on major issues and improvement tasks in special education. Presenters outlined the current status of Incheon’s special education reform efforts and shared research findings on the “Incheon Model Special Education Support System.”
Five representatives—including frontl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Incheon Disabled Parents’ Solidarity, and the Incheon Education Rights Network for the Disabled—joined the panel to discuss on-site challenges and necessary policy support measures.
Superintendent Do emphasized the administration’s commitment, stating, “We will continue to pursue field-centered policies to improve conditions for both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and we will work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mbraces every learner.”
Based on the feedback collected during the hearing,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lans to establish a “Two-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tentative title)” and strengthen its field-centered approach to special education policy.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