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 영종국제도시에서 바라본 '청라하늘 대교' 사진/인천경제청 제공 2025.03.13.

국문 기사

◆ 지역 정체성 충돌, 명칭 합의 난망

인천 영종도와 청라를 잇는 청라하늘대교 명칭을 두고 중구와 서구 간 갈등이 3년째 이어지고 있다. 2025년 12월 개통을 앞두고도 최종 명칭이 확정되지 않아 홍보 마케팅에 차질이 우려된다.

중구는 '영종하늘대교'를 주장한다. 섬 주민을 위한 교량이므로 섬 지명이 우선돼야 한다는 논리다. 중구는 지난해 주민 공모를 통해 '영종하늘대교'를 후보명으로 선정했다. 영종도 주민들은 "제1연륙교인 영종대교에 이미 영종 지명이 사용됐지만, 이번 교량은 섬 주민의 숙원사업"이라고 강조한다.

서구는 '청라대교'를 내세운다. 청라국제도시 주민들이 건설비 3000억원을 분양가로 부담했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서구 관계자는 "제1연륙교가 영종대교, 제2연륙교가 인천대교인 만큼 제3연륙교는 청라 지명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천시 지명위원회는 양측 의견을 절충해 '청라하늘대교'로 결정했다. 그러나 중구와 서구 모두 이의를 제기했다. 중구는 "청라 지명만 부각된다"며 반발했고, 서구는 "'하늘'이라는 수식어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재심의 일정이 2차례 연기됐다.

지역 간 갈등은 정치권으로 확산됐다. 중구 선출 시의원들은 '영종하늘대교' 관철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고, 서구 시의원들은 '청라대교' 지지 입장을 밝혔다. 인천시 관계자는 "개통 시점에 맞춰 명칭 재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세계기록 교량 마케팅, 명칭 확정 시급

청라하늘대교는 높이 184.2m 주탑 전망대로 미국 세계기록위원회(WRC)로부터 '세계 최고 높이 해상교량 전망대' 인증을 받았다. 영국 기네스 세계기록(GWR) 등재도 추진 중이다.

세계기록 교량의 명칭 확정은 관광 마케팅의 핵심 요소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내년 3월 관광시설 개장에 맞춰 본격적인 홍보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다. 전망대 이용료는 1만3만원, 엣지워크는 5만8만원 범위에서 책정될 예정이다.

'청라하늘대교' 명칭은 관광 상품 브랜딩 가능성을 보여준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청라'와 '하늘'이 결합된 명칭이 이국적이면서도 서해 노을 전망이라는 콘셉트와 잘 어울린다"고 평가했다.

국제적 인지도 확보를 위해 영문 명칭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지명위원회 결정안인 'Cheongna Sky Bridge'는 영문 표기로도 무난하다는 평가다. 인천관광공사는 "명칭이 조속히 확정돼야 글로벌 마케팅을 본격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청라하늘대교 개통 시점에 맞춰 전망대 세계기록 인증마크 제막식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명칭 미확정으로 홍보물 제작, 안내판 설치 등이 지연되고 있다.

◆ 3년째 논란, 행정 효율성 저하 심각

청라하늘대교 명칭 논란은 2022년부터 시작됐다. 3년째 해결되지 않으면서 행정력 낭비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개통 시점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안내판, 홍보물 제작 일정 조율이 어려운 상황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명칭이 확정되지 않으면 교량 진입로 안내판, 요금 징수 시스템 안내문 등을 제작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자체 간 협의 과정이 진행 중이다. 인천시는 중구, 서구와 별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이 찬성하는 안을 선정하는 게 가장 좋지만, 갈등이 지속되면 시가 적정한 중립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시민 참여 공모 등 민주적 절차를 거쳤으나 최종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중구는 지난해 주민 공모로 '영종하늘대교'를 선정했고, 인천시 지명위원회는 '청라하늘대교'를 결정했지만 양측 모두 수용하지 않았다.

국가 지명위원회로 넘어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인천시 지명위원회 결정에 이의가 제기되면 국가 지명위원회가 최종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명칭 확정 시기가 더욱 늦어질 수 있다.

시민단체는 "소모적인 지역 갈등을 멈추고 교량 본연의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경실련 관계자는 "명칭보다 시민들의 통행료 부담 경감, 관광시설 수익성 확보 등이 더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청라하늘대교는 총연장 4.68km, 폭 30m(왕복 6차로) 규모로 총사업비 7800억원이 투입됐다. 현재 공정률 95%로 2025년 12월 교량 개통, 2026년 3월 관광시설 개장을 목표로 한다.

류홍 기자

영문 기사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eongna Sky Bridge Name Controversy Continues, Three Years Without Resolution Ahead of Opening

Jung-gu 'Yeongjong Sky Bridge' vs Seo-gu 'Cheongna Bridge' in Tight Standoff Geographic Names Committee Decided 'Cheongna Sky Bridge' but Both Sides Raised Objections, Two Deliberation Postponements World Record Bridge Marketing Disruption Concerns, Administrative Waste Pointed Out

◆ Regional Identity Collision, Name Agreement Unlikely

The conflict between Jung-gu and Seo-gu over the Cheongna Sky Bridge name connecting Yeongjong Island and Cheongna has continued for three years. With opening scheduled for December 2025, the final name remains unconfirmed, raising concerns about promotional marketing disruptions.

Jung-gu argues for 'Yeongjong Sky Bridge'. The logic is that since the bridge serves island residents, the island place name should take priority. Jung-gu selected 'Yeongjong Sky Bridge' as candidate name through resident public contest last year. Yeongjong Island residents emphasize "Although the Yeongjong name was already used for the first Yeonryuk Bridge, this bridge is a long-cherished project for island residents."

Seo-gu advocates 'Cheongna Bridge'. They cite that Cheongna International City residents bore 300 billion won construction costs through housing prices. A Seo-gu official argues "Since the first Yeonryuk Bridge is Yeongjong Bridge and the second is Incheon Bridge, the third Yeonryuk Bridge should reflect the Cheongna place name."

Incheon City Geographic Names Committee compromised both sides' opinions and decided on 'Cheongna Sky Bridge'. However, both Jung-gu and Seo-gu raised objections. Jung-gu protested "Only the Cheongna name is highlighted," while Seo-gu claimed "The modifier 'Sky' is unnecessary." The deliberation schedule was postponed twice.

The regional conflict spread to the political sphere. Jung-gu elected city council members issued statements urging 'Yeongjong Sky Bridge' adoption, while Seo-gu council members expressed support for 'Cheongna Bridge'. An Incheon City official said "Name reconsideration is ongoing in line with the opening schedule."

◆ World Record Bridge Marketing, Name Confirmation Urgent

Cheongna Sky Bridge received 'World's Highest Sea Bridge Observatory' certification from the World Record Committee (WRC) of the United States with its 184.2m main tower observatory. Guinness World Records (GWR) registration is also being pursued.

Name confirmation for the world record bridge is a core element of tourism marketing. Incheon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plans full-scale promotional marketing for the March tourist facility opening. Observatory usage fees will be set in the 10,000-30,000 won range, edge walk 50,000-80,000 won.

The 'Cheongna Sky Bridge' name shows tourism product branding potential. A tourism industry official evaluated "The combination of 'Cheongna' and 'Sky' is exotic and matches well with the West Sea sunset view concept."

There are indications that English nam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secure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current Geographic Names Committee decision 'Cheongna Sky Bridge' is evaluated as acceptable English notation. Incheon Tourism Organization stated "Full-scale global marketing can begin once the name is confirmed promptly."

Incheon City plans an observatory world record certification mark unveiling ceremony in line with Cheongna Sky Bridge opening. However, promotional material production and signboard installation are delayed due to name non-confirmation.

◆ Three-Year Controversy, Serious Administrative Efficiency Decline

The Cheongna Sky Bridge name controversy began in 2022. Criticism arises that it is administrative waste as it remains unresolved for three years.

With opening approaching in about a month, coordination of signboard and promotional material production schedules is difficult. An Incheon Economic Zone official said "Without name confirmation, we cannot produce bridge approach signboards, toll collection system notices, etc."

Inter-local government consultation process is ongoing. Incheon City is conducting separate consultations with Jung-gu and Seo-gu. A city official stated "It would be best to select a plan residents agree with, but if conflict continues, the city will propose an appropriate neutral alternative."

Despite going through democratic procedures including citizen participation contests, final agreement has failed. Jung-gu selected 'Yeongjong Sky Bridge' through resident contest last year, and Incheon City Geographic Names Committee decided 'Cheongna Sky Bridge', but both sides did not accept.

Possibility of going to the National Geographic Names Committee is raised. If objections are raised to the Incheon City Geographic Names Committee decision, the National Geographic Names Committee can make final judgment. However, this could further delay name confirmation timing.

Civic groups urged "Stop wasteful regional conflict and focus on the bridge's inherent value." An Incheon CCEJ official pointed out "Issues like reducing citizens' toll burden and securing tourist facility profitability are more important than the name."

Cheongna Sky Bridge spans total length 4.68km, width 30m (6 lanes roundtrip) with total project cost of 780 billion won. Current construction progress is 95%, targeting bridge opening December 2025, tourist facility opening March 2026.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