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군·구의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구성을 완료하고 6일 위촉식을 개최한다.
그러나 선거제도 개선 방안을 먼저 결정해야 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설치조차 되지 않아 실질적 운영이 어려울 전망이다.
인천시는 지난달 선거구획정위원회 구성을 마치고 5일 이같이 밝혔다. 위원회는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 인천시의회, 학계, 법조계, 언론계, 시민사회단체가 추천한 11명으로 꾸려졌다. 지방의원과 정당 당원은 위원 자격에서 배제된다.
◆2022년 지방선거 때도 선거일 47일 전 뒤늦게 획정
공직선거법은 자치구 시·군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선거일 6개월 전까지 선거구획정안을 시·도지사에게 제출하도록 규정한다. 2026년 6.3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준으로 내년 1월 3일이 법정시한이다.
문제는 광역·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이 국회 정개특위에서 선거 규칙과 지방의원 총 정수를 결정한 뒤에야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22대 국회에서 정개특위 설치 논의는 시작도 하지 못한 상태다.
국회는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때도 선거일(6월 1일)을 47일 앞둔 4월 15일에야 여야 합의로 선거구 획정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각 시·도 의회는 이후 급하게 선거구를 획정해야 했다.
◆인천 광역의원 1인당 인구 8만4632명...울산보다 2만7000명 많아
인천에서는 지방의원 정수 확대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인구 대비 광역·기초의원 의석 수가 타 광역시보다 적기 때문이다.
2025년 9월 기준 인천 인구는 304만6754명이다. 공직선거법상 인천시의원 정수 36석을 기준으로 하면 1인당 평균 인구수는 8만4632명이다. 부산(1인당 7만7342명), 대구(1인당 8만1254명), 대전(1인당 7만5907명), 광주(1인당 6만9856명), 울산(1인당 5만7507명)보다 최소 7000명에서 최대 2만7000명까지 많다.
기초의원 상황도 마찬가지다. 인천 기초의원 122석(비례 포함)을 기준으로 1인당 평균 인구수는 2만4973명이다. 부산(1인당 1만7848명)보다 7125명, 대구(1인당 1만9636명)보다 5337명, 대전(1인당 2만2893명)보다 2080명, 광주(1인당 2만546명)보다 4427명, 울산(1인당 2만1853명)보다 3120명 많다.
◆신설 3개 자치구 '초미니 의회' 우려...옹진군 선거구도 쟁점
내년 행정체제 개편으로 새로 출범하는 영종구·제물포구·검단구는 기초의원 정수가 유지될 경우 시초의회 구성 최소 의석인 7석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크다. 이들 자치구 인구는 10만명에서 26만명 수준인데, 7석만 배정되면 1표의 가치가 크게 왜곡된다.
인천시의원 선거 옹진군 선거구 재편도 논란거리다. 헌법재판소는 지난달 23일 인구 5만명 미만 기초단체에 광역의원 1명을 보장하는 현행 규정이 투표가치 평등을 훼손한다며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장수군 선거구 통폐합 결정을 내렸다. 주민등록상 옹진군 인구는 지난 9월 기준 2만명이 채 되지 않는다.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도 논의 대상이다.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은 지난 9월 이를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허재원 기자
영문 기사
Incheon Electoral Constituency Committee Launched But 'Tied Up' Due to Unestablished Political Reform Committee
D-240 Until Next Year's June 3 Local Election, 11 Members Formed...Legal Deadline is January 3 Next Year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Incheon City Gun·Gu Council Electoral Constituency Committee has completed its formation and will hold an inauguration ceremony on the 6th. However, practical operations are expected to be difficult as the National Assembly's Political Reform Special Committee, which must first decide on electoral system improvement measures, has not even been established.
Incheon City announced this on the 5th after completing the formation of the electoral constituency committee last month. The committee consists of 11 members recommended by the Incheon City Election Commission, Incheon City Council, academia, legal circles, media circle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Local council members and party members are excluded from committee membership.
◆2022 Local Election Also Belatedly Demarcated 47 Days Before Election Day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tipulates that the autonomous district city·gun council electoral constituency committee must submit the electoral constituency plan to the city·provincial governor six months before the election date. Based on the June 3, 2026 nationwide simultaneous local elections, the legal deadline is January 3 next year.
The problem is that metropolitan and basic council electoral constituency demarcation can only proceed after the National Assembly's Political Reform Committee determines election rules and the total number of local council members. Discussion on establishing the Political Reform Committee in the 22nd National Assembly has not even begun.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mendment to demarcate electoral constituencies through agreement between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on April 15, only 47 days before the election date (June 1) during the 2022 local elections. Provincial and metropolitan councils had to hastily demarcate electoral constituencies afterward.
◆Incheon Metropolitan Council Member Represents 84,632 People...27,000 More Than Ulsan
Demands are growing in Incheon to expand the number of local council member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metropolitan and basic council seats relative to population is smaller than other metropolitan cities.
As of September 2025, Incheon's population is 3,046,754. Based on the 36 Incheon City Council seat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average population per seat is 84,632. This is at least 7,000 to a maximum of 27,000 more than Busan (77,342 per seat), Daegu (81,254 per seat), Daejeon (75,907 per seat), Gwangju (69,856 per seat), and Ulsan (57,507 per seat).
The basic council situation is similar. Based on Incheon's 122 basic council seats (includ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the average population per seat is 24,973. This is 7,125 more than Busan (17,848 per seat), 5,337 more than Daegu (19,636 per seat), 2,080 more than Daejeon (22,893 per seat), 4,427 more than Gwangju (20,546 per seat), and 3,120 more than Ulsan (21,853 per seat).
◆Concerns Over 'Mini-Councils' in Three New Autonomous Districts...Ongjin County Electoral District Also Contentious
Yeongjong-gu, Jemulpo-gu, and Geomdan-gu, which will be newly launched through next year's administrative system reorganization, are likely to operate with seven seats, the minimum for forming a municipal council, if the number of basic council members is maintained. The population of these autonomous districts ranges from 100,000 to 260,000, and if only seven seats are allocated, the value of one vote will be significantly distorted.
Reorganization of the Ongjin County electoral district in the Incheon City Council election is also controversial.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on the 23rd of last month to consolidate the Jangsu County electoral district of the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Council, stating that the current regulation guaranteeing one metropolitan council member to basic local governments with populations under 50,000 undermines voting value equality. Ongjin County's registered population is less than 20,000 as of September.
The introduction of a medium-sized constituency system and regional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s also subject to discussion. Democratic Party Representative Im Mi-ae proposed a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mendment containing these measures in September.

Reporter Heo J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