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포시가 30일 김포시 모담도서관에서 '김포 문수산성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 30년 발굴 성과 공유, 시민과 함께 방향 모색

이번 학술대회는 1995년 첫 발굴 조사가 진행된 이후 지난 30년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시민과 함께 복원과 활용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김포시가 주최하고 (재)국토문화유산연구원이 주관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학술 지원을 제공했다. 관계자 및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 큰 관심을 보였다.

김병수 시장은 개회사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김포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우리 정체성을 찾는 것"이라며 "천 년 넘게 지켜온 김포의 역사적 자원들을 찾아 정체성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김포의 소재와 역사에 대해 심도 있게 살피는 것이 첫 걸음"이라고 강조했다.

김병수 시장은 "김포의 역사적 위상을 보여주는 대표문화유산인 문수산성은 복원한 지 30년이 됐다. 문수산성을 다시 복원하고 가꾸고 이용하면 우리 김포 시민들이 정신적으로 기댈 수 있는 정체성의 근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가 힘 모으면 남한산성보다 더 좋은 문수산성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역사성 보존과 활용 방안 발표

학술대회 1부는 김포 문수산성의 역사성 보존과 가치 활용을 주제로 했다. 심광주 한국성곽연구소 소장의 기조강연 '문수산성의 역사적 위상과 문화유산적 가치 확장 방안'을 시작으로 박만홍 (재)국토문화유산연구원 실장 '김포 문수산성의 조사성과와 의미', 김규운 강원대학교 교수 '삼국시대 문수산성의 의미', 배성수 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관 '숙종대 강화도 관방체제 구축과 문수산성', 박지영 문화더하기연구소 대표 '문수산성의 활용 전략과 지역사회 연계방안' 등 문수산성의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다각도로 조명하고 향후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발표가 이어졌다.

◆ 전문가 좌담회로 심도 있는 토론

2부 김포 문수산성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좌담회는 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정계옥(前국가유산청 전문위원), 최태선(중앙승가대학교 교수), 김규원((재)한울문화유산연구원 실장), 선경화(김포시 학예연구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심도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졌다. 평소 궁금했던 문화유산에 대한 궁금증을 나누고, 문수산성의 발전 방향과 활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김포시는 시민과 함께 문화유산의 복원과 활용 방향을 모색하는 열린 정책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에 위치한 '김포 문수산성'은 삼국시대 신라에 의해 처음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이후 국방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1694년(숙종 20년)에 대대적으로 보수·축성돼 한양과 강화의 길목을 지키는 요충지로 기능했다. 그 역사적 가치가 인정돼 1964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됐으며, 현재까지 김포를 대표하는 주요 문화유산으로 자리하고 있다.

허재원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Gimpo City Hosts Academic Conference on 'Historical Value and Utilization of Munsusan Fortress'

Sharing 30 Years of Achievements Since First Excavation in 1995… Exploring Restoration and Utilization Direction

Gimpo City held an academic conference themed 'Historical Value and Utilization of Gimpo Munsusan Fortress' at Gimpo Modam Library on the 30th.

◆ Sharing 30 Years of Excavation Achievements, Exploring Direction with Citizens

This academic conference was organized to share the achievements of the past 30 years since the first excavation survey in 1995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restoration and utilization with citizens.

Gimpo City hosted and the National Land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organized the event. Experts from various fields provided academic support. Officials and many citizens participated, showing great interest.

In his opening remarks, Mayor Kim Byung-soo emphasized, "The most important task for Gimpo, which is growing rapidly, is to find our identity," adding, "We must find Gimpo's historical resources preserved for over a thousand years and connect them to our identity. To do so, examining Gimpo's materials and history in depth is the first step."

Mayor Kim Byung-soo stated, "Munsusan Fortres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showing Gimpo's historical status, was restored 30 years ago. By restoring, cultivating, and utilizing Munsusan Fortress again, we can find the foundation of identity that our Gimpo citizens can rely on spiritually," adding, "If we join forces, we can create a Munsusan Fortress better than Namhansanseong."

◆ Presentations on Historical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Part 1 of the academic conference focused on preserving the historicity of Gimpo Munsusan Fortress and utilizing its value. Starting with a keynote lecture by Shim Gwang-joo, Director of the Korea Fortress Research Institute, on 'Historical Status of Munsusan Fortress and Plans to Expand Cultural Heritage Value,' presentations followed including Park Man-hong (Director, National Land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on 'Survey Results and Significance of Gimpo Munsusan Fortress,' Kim Gyu-wo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on 'Significance of Munsusan Fortres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ae Seong-soo (Curator, Incheon Metropolitan Museum) on 'Construction of Ganghwa Island Defense System During King Sukjong's Reign and Munsusan Fortress,' and Park Ji-young (CEO, Culture Plus Research Institute) on 'Utilization Strategy for Munsusan Fortress and Community Connection Plans,' illuminating the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of Munsusan Fortress from various angles and presenting future development plans.

◆ In-Depth Discussion Through Expert Panel

Part 2, a panel discussion 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Gimpo Munsusan Fortress, was moderated by Professor Shin Hee-kwon of University of Seoul. Experts from various fields participated, including Jeong Gye-ok (former expert membe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oi Tae-seon (Joong-ang Sangha University Professor), Kim Gyu-won (Director, Hanul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and Seon Gyeong-hwa (Gimpo City Curator), continuing in-depth discussions.

This academic conference was realiz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y shared questions about cultural heritage and presented various opinions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utilization plans for Munsusan Fortress. Gimpo City considers this as a starting point for open policies exploring the restoration and utilization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with citizens.

'Gimpo Munsusan Fortress' located in Seongdong-ri, Wolgot-myeon, Gimpo City is known to have been first constructed by Sil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fter the Imjin War, as the importance of national defense increased, it was extensively repaired and fortified in 1694 (20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functioning as a strategic point guarding the gateway between Hanyang and Ganghwa. Its historical value was recognized and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historic site in 1964, remaining a major cultural heritage representing Gimpo to this day.

Reporter Heo J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