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주택 임대차 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가을 이사철을 맞았지만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아파트 전세 매물이 줄면서 전세의 월세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 규제지역 지정 후 매물 급감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29일 기준 경기도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647건으로 지난 15일(2만836건) 대비 1.0% 감소했다.

1년 전 3만249건과 비교하면 31.7% 줄었다. 정부가 과천 등 집값 상승세가 가파른 경기도내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한 15일 이후 도내 아파트 전세 매물이 소폭 줄어들고 있다. 규제지역 지정 효력은 16일,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력은 20일부터 발효됐다.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곳의 매물 감소가 두드러진다. 성남 중원구는 15일 141건에서 29일 124건으로 아파트 전세 매물이 1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용인 수지구는 552건에서 498건으로 9.8%, 성남 수정구는 218건에서 197건으로 9.7% 줄었다. 수원 영통구와 안양 동안구는 각각 9.6%, 9.5% 감소했다.

◆ 신규 전세거래 40.6% 감소

실거래 현황에서도 전세 신규 거래량 감소가 관측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이달 1일부터 현재까지 경기도내 아파트 임대차거래는 1만5948건이고 이 중 전세거래는 8556건으로 조사됐다.

재계약을 제외한 신규 전세계약은 4956건이다. 지난달 경기도내 아파트 신규 전세거래 건수는 8346건으로 40.6% 줄었다. 아직 10월 실거래 기한이 남았지만, 신규 전세 거래가 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전세수급지수 154.6…월세 가격도 동반 상승

전세 매물 감소는 정부의 규제와 관련이 깊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주택 매입 시 2년의 실거주 의무가 부여되기 때문이다. 사실상 최소 2년간은 전세 매물이 잠긴다는 의미다. 전세 시장에서 갭투자나 다주택자 물량 공급이 많았던 만큼 매물 출현이 감소세에 접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KB부동산 통계를 보면 이달 경기도 전세수급지수는 154.6을 기록했다.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두고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아파트 월세지수는 129.0으로 지난 1월(122.8) 대비 6.2p 늘었다.

서진형 광운대학교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규제 정책이 전세 및 월세 공급 감소로 이어졌지만 수요는 여전한 상황"이라며 "임대차 시장의 메커니즘 자체가 무너지다 보니 전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전세에서 밀려난 이들이 월세로 가면서 월세 가격이 동반 상승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허재원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Gyeonggi-do Apartment Jeonse Listings Decrease 31.7% Year-Over-Year

Listings Plummet After October 15 Real Estate Measures… Concerns Rise Over Jeonse-to-Monthly Rent Conversion

Confusion in Gyeonggi-do's housing rental market is intensifying. Despite the fall moving season, apartment jeonse (lump-sum deposit rental) listings have decreased following the October 15 real estate measures, raising concerns over the conversion of jeonse to monthly rent.

◆ Listings Plummet After Regulatory Area Designation

According to real estate big data company 'Asil,' Gyeonggi-do apartment jeonse listings stood at 20,647 as of the 29th, a 1.0% decrease from the 15th (20,836).

Compared to 30,249 one year ago, listings dropped 31.7%. Since the 15th,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designation of 12 regions in Gyeonggi-do, including Gwacheon where housing prices are rising steeply, as regulated areas and land transaction permit zones, provincial apartment jeonse listings have been declining slightly. The regulatory area designation took effect on the 16th, and the land transaction permit zone designation took effect on the 20th.

The decrease in listings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designated regulated areas. In Jungwon-gu, Seongnam, apartment jeonse listings decreased 12.1% from 141 on the 15th to 124 on the 29th. During the same period, Suji-gu, Yongin decreased 9.8% from 552 to 498, and Sujeong-gu, Seongnam decreased 9.7% from 218 to 197. Yeongtong-gu, Suwon and Dongan-gu, Anyang decreased 9.6% and 9.5% respectively.

◆ New Jeonse Transactions Decrease 40.6%

The decrease in new jeonse transaction volume is also observed in actual transaction data.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actual transaction price disclosure system, apartment rental transactions in Gyeonggi-do from the 1st of this month to present totaled 15,948, of which jeonse transactions numbered 8,556.

New jeonse contracts excluding renewals numbered 4,956. Last month, new jeonse transactions in Gyeonggi-do numbered 8,346, representing a 40.6% decrease. Although the October actual transaction reporting deadline remains, new jeonse transactions are not expected to increase easily.

◆ Jeonse Supply-Demand Index at 154.6… Monthly Rent Prices Also Rising

The decrease in jeonse listings is closely related to government regulations. This is because a 2-year actual residence obligation is imposed when purchasing housing in land transaction permit zones. This effectively means jeonse listings are locked up for at least 2 years. The decline in listing appearances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large supply of gap investment and multi-homeowner properties in the jeonse market.

According to KB Real Estate statistics, Gyeonggi-do's jeonse supply-demand index recorded 154.6 this month. The jeonse supply-demand index uses 100 as a baseline, with indices exceeding 100 indicating insufficient supply. The apartment monthly rent index also reached 129.0, an increase of 6.2p from January (122.8).

Seo Jin-hyung, Professor of Real Estate Law at Kwangwoon University, stated, "Regulatory policies have led to decreased jeonse and monthly rent supply, but demand remains constant," adding, "As the rental market mechanism itself collapses, it leads to jeonse price increases, and accordingly, those pushed out of jeonse move to monthly rent, creating a vicious cycle of concurrent monthly rent price increases."

Reporter Heo J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