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폐석회 매립장조성을 위한 토론회 마무리.사진/인천광역시의회
국문 기사
◆ 토론회 개최와 배경
인천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 김대중이 24일 건교위 세미나실에서 '폐석회 매립장 활용 및 의견 수렴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폐석회 매립장 조성 경과를 점검하고 향후 활용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참석자들은 역사성과 환경적 특수성, 지상권 및 협약 문제, 공원 조성 전략, 지역 연결성 강화, 안전관리 등을 도시계획·환경·행정·시민사회 관점에서 심도 있게 논의했다.
◆ 현황과 과제
㈜DCRE 개발사업실 부장 김기한은 폐석회 매립장 조성 과정과 시설 현황을 설명했다. 그는 "미추홀구청으로부터 공식 공문 협의 요청은 없으나 파크골프·축구 등 지역 체육회가 시설 요구를 연이어 제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부장은 "2024년 6월 매립시설 사용 종료 이후 30년간 침출수 등 사후관리 의무가 지속된다"며 "향후 공원 조성은 반드시 법적·기술적 요건과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 공원조성과 관계자는 "뮤지엄파크 등 인근 공공시설 기능과 중복되지 않으면서 강력한 지역 체육수요를 충족시킬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인천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폐기물관리법상 매립시설 위에 설치 가능한 시설 범위가 명확히 규정돼 있으며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이해관계자의 새로운 제안
인천환경운동연합 대표 심형진은 "폐석회 매립장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공간으로 역사성과 환경성을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능허대공원·한진나루·인근 방송국과의 공간적·지리적 연결성 확보와 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생태·문화공간 조성 필요성을 제기했다.
심 대표는 "폐석회 처리 초기처럼 이번 공원 조성도 시민·행정·기업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생명정책연구원 대표 장정구는 "현 4자 협약은 20년 전 작성된 것으로 지금의 도시여건·시민 수요와 맞지 않는다"며 "새로운 협약과 새로운 공론화 틀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장 대표는 "지상권·토지 소유·운영 방식 등 이해관계가 복잡하므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한 논의 구조 마련이 필수"라고 덧붙였다.
◆ 위원장의 다짐
좌장 김대중 위원장은 "20년 전 그려진 계획은 현재 도시 여건과 시민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며 "새로운 공론화, 새로운 협약, 새로운 조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폐석회 매립지는 원도심에서 찾기 어려운 대규모 공공부지로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설계해야 한다"며 "앞으로 행정·기업·시민사회와 함께 지속적인 논의 구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더 많은 시민과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시대적 흐름에 맞춰 폐석회 매립장 상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시의회, 폐석회 매립장 ... 위한 토론회 마무리.사진/인천광역시의회
최종룡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Waste Lime Landfill "Reborn as Urban Park"...20-Year Partnership Restructured
Urban Planning,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Find Optimal Use Plans Together
◆ Forum Held and Background
Incheon Metropolitan City Council's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ommittee Chairman Kim Dae-jung held a "Waste Lime Landfill Utilization and Opinion Gathering Forum" in the committee's seminar room on the 24th. The forum was held to review the progress of the waste lime landfill development and explore future utilization directions.
Participants engaged in in-depth discussions from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and civil society perspectives on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nvironmental uniqueness, surface rights and partnership issues, park development strategies, enhanced regional connectivity, and safety management.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DCRE Development Division Director Kim Ki-han explained the waste lime landfill development process and facility status. He mentioned, "Although there has been no formal written consultation request from Michuhol-gu Office, local sports associations centered on park golf and soccer are continuously submitting facility requests."
Director Kim emphasized, "After the landfill facility ceases operation in June 2024, a 30-year post-management obligation for leachate and others continues," and "any future park development must necessarily proceed alongside legal and technical requirements."
An Incheon City Parks Development Division official stated, "We must jointly consider ways to meet strong local sports demands without overlapping functions of nearby public facilities such as Museum Park."
An Incheon City Resource Circulation Division official explained, "The scope of facilities that can be installed on landfills is clearly stipulated under the Waste Management Act, and safety must be secured by applying individual law standards such as the Building Act. The 30-year post-management period is a mandatory obligation that will continue separately from park development."
◆ New Proposals from Stakeholders
Incheon Environmental Movement Association Director Shim Hyung-jin emphasized, "The waste lime landfill is an unprecedented space worldwide and must reflect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He raised the need to secure spatial and geographic connectivity with Neungheo-dae Park, Hanjin Naru, and nearby broadcasting stations, and to create integrated ecological and cultural spaces for residents.
Director Shim stated, "Like the initial waste lime treatment, this park development process must be preceded by a public discourse process involving citizens, administration, and businesses."
Climate and Life Policy Research Institute Director Jang Jung-gu proposed, "The current four-party partnership was drafted 20 years ago and does not match current urban conditions and citizen demands," and "new partnerships and new public discourse frameworks must be established."
Director Jang added, "With complex stakeholder interests such as surface rights, land ownership, and operational methods, project promotion is difficult through one party's decision alone. A discussion structure that ensures objectivity and fairness is essential."
◆ Committee Chairman's Commitment
Moderating Chairman Kim Dae-jung asserted, "Plans drawn 20 years ago cannot reflect current urban conditions and citizen demands," and "new public discourse, new partnerships, and new development strategies are necessary."
Chairman Kim stated, "The waste lime landfill is a large-scale public land rarely found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and must be redesigned as a space for citizens," and "henceforth, I will establish a continuous discussion structure together with administration,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He added, "Beginning with this forum, we plan to have opportunities to gather opinions from more citizens and organizations to develop the upper area of the waste lime landfill in line with current trends following the times."
Reporter: 최종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