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기사
수도권 아파트 분양실적이 전년 대비 9.2% 감소했다. 서울과 인천의 분양 물량이 급감했지만 경기도는 공공분양 본청약이 집중되며 증가세를 보였다.
◆ 수도권 분양 7만5734가구, 서울 48.4% 급감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공동주택 분양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9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실적은 7만5734가구다. 2024년 동기간 8만3401가구 대비 9.2% 감소했다.
서울 분양물량은 2024년 1만7807가구에서 2025년 9197가구로 48.4% 급감했다. 인천은 2024년 1만4659가구에서 2025년 1만2006가구로 18.1% 감소했다.
경기도 분양실적은 2024년 5만935가구에서 2025년 5만4531가구로 7.1% 증가했다. 고양창릉·부천대장·하남교산 등 공공분양 물량의 본청약이 해당 기간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국 아파트 분양실적은 2025년 1~9월 13만309가구로 2024년 16만1957가구 대비 19.5% 감소했다. 수도권이 전국 분양의 58.1%를 차지했다.
◆ 공사비 상승·대출 규제로 공급 여건 악화
주택시장은 자재비·인건비 상승과 건설안전 규제 강화로 공급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로 수요 감소를 우려한 일부 사업지는 분양 일정을 재검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 분양실적이 48.4% 급감한 것은 신규 분양 사업지 확보의 어려움과 높은 분양가 부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은 청라·검단 등 주요 개발지역의 공급 물량이 줄어들며 18.1% 감소했다.
경기도는 공공분양 본청약이 집중되며 증가세를 보였다. 고양창릉은 2025년 상반기 3000가구 이상을 분양했다. 부천대장과 하남교산도 각각 2000가구 이상의 본청약을 진행했다.
◆ 2026년 25만가구 분양 전망, 수도권 회복 기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발표한 '2026 부동산전망'에 따르면 2025년 12월까지 전국 분양실적은 21만가구로 전망됐다. 2026년에는 25만가구가 분양될 것으로 예측됐다.
건산연은 "이미 상승한 공사비 등 제반 비용으로 시장 기대만큼 낮은 분양가 책정이 어려운 상황이고, 건설안전 규제 강화 등 공급 제약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산연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 견인 구조가 유지되고 있어 사업성이 불투명해 착공이 지연됐던 정체 사업장들의 추진이 재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내년 입주물량 감소 등 신축에 대한 수요가 뒷받침되면서 수도권 분양실적은 다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서울과 인천은 올해 급감한 분양 물량이 내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는 공공분양 외에도 민간 분양 사업지가 증가하며 안정적인 공급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2026년 분양실적이 2025년 대비 10~15%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최종룡 기자
영문 기사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etropolitan Area Apartment Sales Down 9.2%…Seoul Plummets 48.4%
Seoul and Incheon Contract While Gyeonggi Increases 7.1% Due to Public Housing
Goyang Changneung·Bucheon Daejang Main Lottery Concentrated…Recovery Expected Next Year with New Construction Demand
Metropolitan area apartment sales performance decreased 9.2% year-over-year. Sales volume in Seoul and Incheon plummeted, but Gyeonggi Province showed an increase as public housing main lotteries were concentrated.
◆ Metropolitan Area Sales 75,734 Units, Seoul Down 48.4%
According t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Statistics Korea 'Joint Housing Sales Performance' data, metropolitan area apartment sales from January to September 2025 totaled 75,734 units. This decreased 9.2% from 83,401 units in the same period of 2024.
Seoul sales volume plummeted 48.4% from 17,807 units in 2024 to 9,197 units in 2025. Incheon decreased 18.1% from 14,659 units in 2024 to 12,006 units in 2025.
Gyeonggi Province sales increased 7.1% from 50,935 units in 2024 to 54,531 units in 2025. This is analyzed as influenced by concentrated main lottery applications for public housing in Goyang Changneung, Bucheon Daejang, and Hanam Gyosan during this period.
Nationwide apartment sales totaled 130,309 units from January to September 2025, down 19.5% from 161,957 units in 2024. The metropolitan area accounted for 58.1% of nationwide sales.
◆ Supply Conditions Worsen Due to Rising Construction Costs and Loan Regulations
The housing market faces poor supply conditions due to rising material costs, labor costs, and strengthened construction safety regulations. Cases of some project sites reviewing sales schedules are increasing due to concerns about demand decrease from the government's ultra-strong loan regulations.
Seoul's 48.4% plunge in sales performance is analyzed as influenced by difficulty securing new sales project sites and high sales price burden. Incheon decreased 18.1% as supply volume in major development areas like Cheongna and Geomdan decreased.
Gyeonggi Province showed an increase as public housing main lotteries were concentrated. Goyang Changneung sold over 3,000 units in the first half of 2025. Bucheon Daejang and Hanam Gyosan each conducted main lotteries for over 2,000 units.
◆ 2026 Forecast 250,000 Units, Metropolitan Area Recovery Expected
According to the '2026 Real Estate Outlook' released by the Korea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 Institute (CERIK), nationwide sales performance through December 2025 was forecast at 210,000 units. In 2026, 250,000 units are predicted to be sold.
CERIK stated, "It is difficult to set sales prices as low as market expectations due to already increased construction costs and other expenses, and supply constraint factors such as strengthened construction safety regulations persist."
CERIK analyzed, "Nevertheless, as the demand-driven structure is maintained, stagnant project sites whose groundbreaking was delayed due to unclear business viability can resume promotion."
Metropolitan area sales performance is expected to improve somewhat as demand for new construction is supported by factors including decreased move-in volume next year. Particularly, Seoul and Incheon are expected to show recovery next year after this year's plummeting sales volume.
Gyeonggi Province is expected to continue stable supply with increasing private housing project sites in addition to public housing. Overall, experts forecast metropolitan area sales performance will increase 10-15% in 2026 compared to 2025.
Reporter Choi Jong-r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