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에 월세 물건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10.28.
◆ 월세 거래 비중 60% 돌파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전국 주택 월세 비중은 62.2%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55.0%, 2024년 57.4%에서 증가한 수치다.
서울의 2025년 1~8월 월세 비중은 64.1%로 나타났다. 2023년 56.6%, 2024년 60.0%에서 상승세를 이어갔다.
◆ 전세 물건 급감, 월세 전환 불가피
서울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단지 내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28일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갭투자가 막히면서 전세 물건이 줄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기존 전세 계약을 연장하는 임차인이 많아졌다"며 "전세 물건이 없어 임차인 대부분이 월세로 거주한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자료를 리얼하우스가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를 기록했다.
서울은 7.25%, 경기 5.23%, 인천 7.8% 상승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 올랐다.
수도권 월세가격은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2020년 1% 상승했다. 이후 2021년 4.26%, 2022년 5.54%, 2023년 5.25%, 2024년 4.09% 올랐다.
아파트 전세가격은 2022년 0.04% 상승했으나 2023년 6.66% 하락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 분석 결과, 서울 아파트 전세 계약 갱신청구권 사용 건수는 올해 7월 3178건, 8월 2674건, 9월 2263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1095건, 8월 1104건, 9월 1016건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전문가들은 6·27 대책 등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전세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진 세입자들이 월세를 선택한다고 분석했다.
◆ 입주 물량 감소로 월세화 가속 전망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올해 27만7617가구에서 내년 21만483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같은 기간 4만2684가구에서 2만8984가구로 줄어들 전망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고 입주 물량이 감소한다"고 밝혔다.
김 전문위원은 "전세 시장이 축소되면서 전세 일부가 월세나 보증부 월세로 전환되고 주거비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종룡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Seoul Apartment Monthly Rent Hits 10-Year High… 'Jeonse-to-Monthly Rent' Conversion Accelerates
Subtitle: Monthly rent transaction share surpasses 62.2% amid jeonse property shortage… Tenant housing cost burden increases
Monthly Rent Transaction Share Surpasses 60%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nationwide housing monthly rent share recorded 62.2% from January to August this year.
This represents an increase from 55.0% in 2023 and 57.4% in 2024.
Seoul's monthly rent share for January to August 2025 reached 64.1%. It continued an upward trend from 56.6% in 2023 and 60.0% in 2024.
Jeonse Properties Plummet, Monthly Rent Conversion Inevitable
A real estate agency representative at Acro River Heim complex in Heukseok-dong, Dongjak-gu, Seoul, stated on the 28th, "Jeonse properties decreased after gap investment was blocked following real estate policy announcements."
The representative explained, "Many tenants renewed existing jeonse contracts," adding, "Most tenants live in monthly rent properties due to the lack of jeonse options."
According to KB Kookmin Bank monthly time-series data compiled by Realhouse, the metropolitan area apartment monthly rent growth rate recorded 6.27% last month.
Seoul rose 7.25%, Gyeonggi 5.23%, and Incheon 7.8%.
During the same period, apartment jeonse prices increased 2.08% in Seoul, 0.99% in Gyeonggi, and 0.39% in Incheon.
Metropolitan monthly rent prices rose 1% in 2020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Three Housing Lease Laws. Subsequently, they increased 4.26% in 2021, 5.54% in 2022, 5.25% in 2023, and 4.09% in 2024.
Apartment jeonse prices rose 0.04% in 2022 but declined 6.66% in 2023.
Analysi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actual transaction price system showed Seoul apartment jeonse contract renewal right usage reached 3,178 cases in July, 2,674 in August, and 2,263 in September this year.
Thi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last year's 1,095 cases in July, 1,104 in August, and 1,016 in September.
Experts analyzed that tenants who found it difficult to secure jeonse deposits due to government loan regulations such as the June 27 measures chose monthly rent.
Move-in Supply Decrease Expected to Accelerate Monthly Rent Conversion
According to Real Estate R114, nationwide apartment move-in scheduled units are expected to decrease from 277,617 units this year to 210,483 units next year.
Seoul is projected to decline from 42,684 units to 28,984 units during the same period.
Kim Hyo-sun, chief real estate specialist at NH Nonghyup Bank, stated, "All of Seoul is designated as a regulated area and move-in supply is decreasing."
Specialist Kim explained, "As the jeonse market shrinks, some jeonse will convert to monthly rent or deposit-based monthly rent, and housing cost burdens will increase."
Reporter Choi Jon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