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 영종국제도시에서 바라본 제3연륙교가 건설 모습. 사진/인천경제청 제공 2025.03.13.

인천시지명위원회가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확정했지만, 다리가 연결하는 중구와 서구 모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7월 28일 지명위원회를 열고 6개 후보 중 '청라하늘대교'를 의결했다. 청라국제도시와 영종하늘도시를 연결하는 제3연륙교의 특성을 조화롭게 반영한 중립적 명칭이라는 설명이었다.

하지만 이 결정은 오히려 갈등의 불씨가 됐다. 중구(영종)와 서구(청라) 모두 재심의를 요구하고 나섰다.

중구 "영종 빠진 명칭, 받아들일 수 없다"

중구는 '영종하늘대교'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지난 5일 하병필 인천시 정무부시장을 만나 재심의 청구서를 전달했다.

중구의 핵심 논리는 세 가지다.

첫째, 연륙교는 섬 이름을 따르는 게 전국적 관례다. 영종대교, 거가대교, 신안대교 등 대부분의 연륙교가 섬 지명을 포함한다.

둘째, 비용 부담과 교통 수요다. 영종 주민이 3,500억원을 부담했고 교통 수요의 88%가 영종 주민이다. 중구 주민대표는 "우리가 더 많이 내고, 더 많이 쓰는데 이름에 영종이 빠지면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셋째, 제3연륙교는 섬 주민의 교통권 회복이 본래 목적이라는 점이다.

김정헌 중구청장은 "영종이 빠진 명칭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영종하늘대교로 재심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구 "청라대교가 가장 명확하다"

서구는 '청라대교'를 요구하며 '청라하늘대교'도 반대하고 있다. 서구청장은 재심의 청구서를 제출하며 "청라하늘대교는 어정쩡한 타협안"이라고 비판했다.

서구의 핵심 논리도 세 가지다.

첫째, 명칭 중복 방지다. 이미 영종대교가 있는데 또 영종을 넣으면 내비게이션에서 혼란이 생긴다는 것이다. 김교흥 국회의원(서구 갑)은 "제1연륙교가 영종대교인데 제3연륙교까지 영종이 들어가면 어느 다리인지 헷갈린다"고 강조했다.

둘째, 투자 기여도다. 청라 주민도 3,000억원을 부담했고 세계 최고 높이 180m 주탑이 청라 땅에 위치한다. 서구 주민대책위 관계자는 "돈은 청라가 내고 혜택은 영종이 독식하는데, 이름마저 청라만 넣는 건 역차별"이라고 반발했다.

셋째, 직관성이다. 서구는 "'하늘'이라는 단어는 직관적이지 않다"며 "청라대교가 가장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다"고 주장한다.

'이름 없는 다리' 개통 위기

문제는 시간이다. 제3연륙교는 12월 개통을 목표로 공정률 77%를 넘어섰다. 재심의에서도 결론이 안 나면 국가지명위원회로 이관되는데, 그러면 최종 결정은 11월 말 이후에나 가능하다.

전국에서 명칭 없이 교량을 개통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 명칭이 확정되지 않으면 이정표와 표지판에 '제3연륙교' 또는 임시 명칭이 붙는다. 이후 정식 명칭이 나오면 모든 표지를 다시 교체해야 하는 행정·재정 낭비가 불가피하다.

전문가들은 인천시의 명확한 원칙과 결단을 촉구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중구와 서구 간 의견이 워낙 상충해 더 검증한 뒤 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제3연륙교는 총사업비 7,709억원을 들여 중구 영종하늘도시와 서구 청라국제도시를 잇는 길이 4.67㎞, 폭 30m(왕복 6차로)의 해상 교량이다. 세계 최고 높이 180m 주탑에는 전망대가 설치될 예정이다.

최종룡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oth Sides Say "NO" to 'Cheongna Sky Bridge' Decision... Jung-gu and Seo-gu Simultaneously Oppose

Incheon City's Compromise Amplifies Conflict... 'Name Adrift' Two Months Before Opening

The Incheon City Place Name Committee confirmed the Third Yeonryuk Bridge name as 'Cheongna Sky Bridge,' but both Jung-gu and Seo-gu, which the bridge connects, are strongly opposing.

Incheon City held a Place Name Committee meeting on July 28 and decided on 'Cheongna Sky Bridge' among six candidates. The explanation was that it was a neutral name harmonious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Yeonryuk Bridge connecting Cheongna International City and Yeongjong Sky City.

However, this decision only sparked more conflict. Both Jung-gu (Yeongjong) and Seo-gu (Cheongna) have demanded re-deliberation.

Jung-gu: "Cannot Accept Name Without Yeongjong"

Jung-gu is strongly demanding 'Yeongjong Sky Bridge.' Jung-gu Mayor Kim Jeong-heon met Incheon City Deputy Mayor for Political Affairs Ha Byeong-pil on the 5th and submitted a re-deliberation request.

Jung-gu's core logic has three points.

First, the convention nationwide is for Yeonryuk bridges to follow island names. Most Yeonryuk bridges like Yeongjong Bridge, Geoga Bridge, and Sinan Bridge include island names.

Second, cost burden and traffic demand. Yeongjong residents bore 350 billion won and 88% of traffic demand comes from Yeongjong residents. A Jung-gu resident representative raised their voice: "We pay more and use it more, so Yeongjong cannot be excluded from the name."

Third, the Third Yeonryuk Bridge's original purpose is to restore islanders' traffic rights.

Jung-gu Mayor Kim Jeong-heon stated, "We cannot accept a name without Yeongjong" and "it must be re-deliberated as Yeongjong Sky Bridge."

Seo-gu: "Cheongna Bridge Is Clearest"

Seo-gu demands 'Cheongna Bridge' and also opposes 'Cheongna Sky Bridge.' The Seo-gu Mayor submitted a re-deliberation request criticizing "Cheongna Sky Bridge is an awkward compromise."

Seo-gu's core logic also has three points.

First, preventing name duplication. With Yeongjong Bridge already existing, including Yeongjong again would cause navigation confusion. National Assembly member Kim Gyo-heung (Seo-gu Gap) emphasized, "The First Yeonryuk Bridge is Yeongjong Bridge, so if Yeongjong goes into the Third Yeonryuk Bridge too, people will be confused about which bridge."

Second, investment contribution. Cheongna residents also bore 300 billion won and the world's highest 180m tower is located on Cheongna land. A Seo-gu Residents' Committee official objected: "Cheongna pays money but Yeongjong monopolizes benefits, yet only putting Cheongna in the name is reverse discrimination."

Third, intuitiveness. Seo-gu argues "the word 'Sky' is not intuitive" and "Cheongna Bridge is the clearest and easiest to understand."

Risk of Opening as 'Nameless Bridge'

The problem is time. The Third Yeonryuk Bridge has surpassed 77% completion toward its December opening goal. If no conclusion is reached in re-deliberation, it must be transferred to the National Place Name Committee, meaning the final decision won't be possible until after late November.

There has never been a single case nationwide of opening a bridge without a name. If the name isn't confirmed, signs will display 'Third Yeonryuk Bridge' or a temporary name. When the official name comes out later, all signs must be replaced—inevitabl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waste.

Experts urge Incheon City to establish clear principles and make decisions.

A toponymy professor advised, "Both sides have merit, but the principle of preventing name duplication should take priority."

A public administration professor pointed out, "Incheon City's reliance on public opinion without clear standards caused the conflict" and "only proposing compromises drew opposition from both sides."

An Incheon City official stated, "Opinions between Jung-gu and Seo-gu conflict so much that we decided to hold the meeting after further verification."

The Third Yeonryuk Bridge is a 4.67km long, 30m wide (6-lane) marine bridge connecting Jung-gu's Yeongjong Sky City and Seo-gu's Cheongna International City with a total project cost of 770.9 billion won. An observation deck will be installed on the world's highest 180m tower.

Reporter Choi Jong-ryong

# 영종하늘 대교 #청라대교 #청라하늘 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