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9월 7일 주택공급 대책을 발표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3주 연속 확대됐다. 성동·마포·광진구 등 ‘한강벨트’와 경기 분당·광명·과천 등 개발 기대 지역이 상승을 주도했다.

한국부동산원이 25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2%에서 0.03%로 확대됐다. 수도권은 0.04%에서 0.07%로 오름폭이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0.12%에서 0.19%로 상승하며 34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대출규제 시행 직후 상승률이 0.08%까지 낮아졌으나 공급대책 발표 이후 0.09%(9월 8일)→0.12%(9월 15일)→0.19%(9월 22일)로 확대됐다.

강북 14개 구(0.17%) 가운데 성동구는 0.59%, 마포구 0.43%, 광진구 0.35%, 용산구 0.28%, 중구 0.27% 올랐다. 강남 11개 구(0.2%)에서는 송파구 0.35%, 강동구 0.31%, 양천구 0.28%, 영등포구 0.24% 상승했다.

서울 잠수교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5.09.25.

경기도는 0.01%에서 0.03%로 오름폭이 커졌다. 성남 분당구는 0.64%, 광명시는 0.24%, 과천시는 0.23% 올랐다. 인천은 보합세(0.00%)를 유지했으며 서구(0.03%), 동구(0.01%), 미추홀구(0.01%)가 상승했다. 지방은 -0.01%로 하락폭이 유지됐다.

전국 전세가격도 지난주 0.03%에서 0.04%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은 0.04%에서 0.06%, 서울은 0.07%에서 0.09%로 상승했다. 송파구(0.26%), 서초구(0.25%)가 전세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경기에서는 광주시(0.22%), 하남시(0.19%), 과천시(0.17%)가 올랐다.

지방 전세가격은 0.01%에서 0.03%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5대 광역시 중 울산은 0.04%에서 0.07%, 부산은 0.04%에서 0.06%로 올랐고, 세종은 0.14%에서 0.28%로 두 배 확대됐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