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아파트 전경

6·27 대출 규제로 잠시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추가 규제 전 막차 수요가 한강벨트 지역으로 몰리면서 서울 전체 집값 상승세를 견인하는 모습이다.

1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셋째주(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2% 상승하며 전주(0.09%)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한강벨트 상승세 두드러져

서울 성동구(0.41%), 마포구(0.28%), 광진구(0.25%) 등 한강벨트 지역은 서울 평균 상승률을 웃돌며 오름폭을 키웠다. 반면 강남구(0.12%), 서초구(0.17%), 송파구(0.19%), 용산구(0.12%) 등 강남권과 용산은 상승세가 둔화됐다.

거래량 측면에서도 한강벨트 회복세가 뚜렷하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성동구 아파트 거래량은 7월 102건에서 8월 187건으로 늘었고, 마포구(120→166건), 광진구(69→84건)도 증가했다. 반면 서울 전체 거래량은 3949건에서 3940건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신고가 거래도 잇따라

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전용 84㎡(30층)는 지난 14일 25억3000만원에 팔렸다. 마포구 아현동 공덕자이 전용 59㎡(9층) 매물은 직전 거래보다 6000만원 오른 19억5000만원에 손바뀜했다.

이는 강남3구와 용산구가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등 3중 규제를 받고 있는 반면, 한강벨트 지역은 아직 비규제지역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거래를 직접 제한하는 최상위 규제라 성동·마포 등 한강변을 바로 묶기는 부담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9·7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는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성동구와 마포구에 대한 규제 임박 관측도 나온다. 이미 관련 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어서 빠른 통과 가능성도 높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마포구와 성동구는 규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마지막 갭투자 기회로 여겨진 막차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9·7 대책의 공공 주도 공급이 민간 공급 부족 신호로 받아들여지면서 매수세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종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