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페어 코리아 2025 폐막…수출 계약추진 3천억 원 돌파. 사진/경기도
◆ 3일간 3,717건·3천억 원 계약추진 성과
경기도가 주최한 '제28회 대한민국 우수상품 전시회(지페어 코리아 2025)'가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3,717건의 수출 계약추진과 2억 1천만 달러(약 3,003억 원)의 계약추진 금액을 기록했다.
45개국에서 811명의 전문 바이어가 참여했다. 해외 바이어는 606명으로 역대 대회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국내 수출 중소기업 502개 사가 572개 부스를 운영했다.
◆ 5개 테마관으로 구성…프리미엄 K-브랜드 내세워
경기도는 '잘 사면 잘 산다(Buy Better, Live Better)!'를 표어로 전시회를 구성했다. 뷰티·패션, 식품, 생활용품, 건강·헬스, 테크 등 5개 테마관을 운영했다.
올해는 K-컬처와 결합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인기 캐릭터 '캐치!티니핑'을 활용한 공연을 열었다. 11월 1일 열린 '캐치!티니핑 싱어롱쇼'는 주말 가족 단위 방문객들의 호응을 받았다.
한국관광공사는 해외 바이어들에게 '블래저(Bleisure)'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바이어들은 한국 문화와 관광을 체험했다.
지페어 코리아 2025 폐막…수출 계약추진 3천억 원 돌파. 사진/경기도 제공
◆ 미국 조지아주 경제사절단 방문…"혁신 제품 소개 무대"
미국 조지아주 조시 맥로린(Josh McLaurin) 주상원의원이 이끄는 경제사절단이 전시회를 방문했다. 조시 의원은 "지페어 코리아가 한국의 혁신 제품을 세계 시장에 소개하는 대표 무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한국과 미국 간 긴밀한 경제 협력과 교류가 한층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연속 참가 기업 166개 사…수출 성과 입증
2년 이상 연속 참가 기업은 166개 사로 전체의 33%를 넘었다. 지난해 처음 참가한 Y사는 롤-솜사탕 제품으로 주목받았다. Y사 관계자는 "지난해 전시회 참가 이후 수출액이 전년 대비 12배 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김포시 소재 금속가공 전문기업 J사는 4년 연속 참가했다. J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중국 이커머스 기업 S사와 약 500만 달러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페어 코리아 2025 폐막…수출 계약추진 3천억 원 돌파. 사진/경기도 제공
◆ 무역위기 대응존 신설…맞춤형 컨설팅 제공
경기도는 상호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위기 대응존'을 신설했다. 중소기업들에게 맞춤형 컨설팅과 수출국 다변화 지원을 제공했다.
박경서 경기도 국제통상과장은 "이번 지페어는 경기도 기업들의 해외 수출 잠재력을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도내 중소기업들이 무역위기를 극복하고 더 많은 수출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류홍근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G-FAIR KOREA 2025 Closes with Export Contracts Exceeding 300 Billion Won
606 Overseas Buyers from 45 Countries Participated, Recording Largest Scale Ever
◆ 3,717 Contracts Worth 300 Billion Won Achieved Over 3 Days
Gyeonggi Province hosted the 28th Korea Premium Products Exhibition (G-FAIR KOREA 2025) at KINTEX in Ilsan from October 30 to November 1. The exhibition recorded 3,717 export contract negotiations and contract amounts of 210 million dollars (approximately 300.3 billion won).
811 professional buyers from 45 countries participated. Overseas buyers numbered 606, accounting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event's history. 502 domestic export-orient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perated 572 booths.
◆ Organized into 5 Theme Halls…Highlighting Premium K-Brands
Gyeonggi Province organized the exhibition under the slogan "Buy Better, Live Better!" The province operated five theme halls: Beauty & Fashion, Food, Lifestyle Products, Health & Wellness, and Tech.
This year featured programs combined with K-Culture. Performances utilized the popular character "Catch! Teenieping." The "Catch! Teenieping Sing-Along Show" held on November 1 received enthusiastic responses from weekend family visitors.
Korea Tourism Organization provided overseas buyers with a "Bleisure" program. Buyers experienced Korean culture and tourism.
◆ US Georgia Economic Delegation Visits…"Platform for Introducing Innovative Products"
An economic delegation led by Georgia State Senator Josh McLaurin visited the exhibition. Senator McLaurin stated, "G-FAIR KORE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platform for introducing Korea's innovative products to the global market." He added, "I expect this exhibition to further expand close economic cooperation and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166 Companies Participated Consecutively…Proving Export Success
Companies that participated for two or more consecutive years numbered 166, exceeding 33% of the total. Company Y, which participated for the first time last year, attracted attention with its roll-cotton candy products. A Company Y official stated, "Export volume increased more than 12 tim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fter participating in last year's exhibition."
Company J, a metal processing specialist based in Gimpo, participated for four consecutive years. Company J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orth approximately 5 million dollars with Chinese e-commerce company S at this exhibition.
◆ Trade Crisis Response Zone Established…Providing Customized Consulting
Gyeonggi Province established a "Trade Crisis Response Zon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such as reciprocal tariffs. The province provid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ith customized consulting and support for diversifying export countries.
Park Kyung-seo, Director of Gyeonggi Province's International Trade Division, stated, "This G-FAI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awaken the export potential of Gyeonggi Province companies." He added, "We will do our best to help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e province overcome the trade crisis and seize more export opportunities."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