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대 대법원장이 18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전원합의체 선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18.

대법원은 압류나 추심 명령이 내려진 채권에 대해서도 채무자가 돈을 돌려받기 위해 소송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24일 A사가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사건 상고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A사는 B씨를 상대로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과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했다. 원심은 "피고는 원고에게 3100만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고 선고했다.

A사의 채권자인 C사가 소송으로 받을 돈에 대해 추심 명령을 받았고, 과세당국도 A사의 세금체납액을 징수하기 위해 압류했다.

B씨는 기존 대법원 판례를 근거로 A사가 받을 돈에 대해 압류와 추심 명령이 내려졌기 때문에 당사자적격을 상실했다며 대법원 판단을 구했다.

대법원은 기존 판례를 변경해 피압류채권에 대한 이행 소송을 제기할 때 채무자가 당사자적격을 상실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채무자가 피압류채권에 관한 이행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추심명령에 위반되지 않고, 추심명령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채무자가 이행의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고 볼 법률적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대법원은 "채무자가 피압류채권에 관한 이행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일 뿐 현실로 급부를 수령하는 것이 아니므로 압류 및 추심명령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했다.

대법원은 채무자가 당사자적격을 상실하지 않는다고 보더라도 추심채권자에게 부당한 결과가 생긴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추심 채권자는 채무자의 이행소송에 참가할 수 있고, 채무자가 승소 확정판결을 받더라도 실제 추심은 압류에 따라 금지되기 때문이다.

채무자가 패소 확정판결을 받아도 이에 따른 손해는 채무자에게 귀속되고 추심 채권자는 채무자의 다른 재산을 찾아 강제집행할 수 있다.

대법원은 채무자가 당사자적격을 상실하지 않는다고 보더라도 제3채무자(채무가 있는 제3자)는 이중지급 위험을 부담하지 않고, 오히려 응소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봤다.

대법원은 "추심명령을 이유로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고 보면 소송이 장기간 진행되었거나 상고심 단계에서 비로소 추심명령이 발령되었더라도 직권으로 소를 각하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그동안의 소송이 무위로 돌아간다"고 했다.

대법원은 "상고심에서 추심명령에 따른 당사자적격 상실을 이유로 본안 판단을 생략한 채 파기환송 하는 경우 재차 본안 판단에 관한 동일한 이유로 상고될 수 있고, 재상고심 단계에서 새로운 추심명령이 발령되면 같은 절차를 반복해야 하므로 분쟁의 일회적 해결 및 소송경제에 현저히 반한다"고 밝혔다.

대법원은 "채무자가 제기한 이행소송의 본안판단에 특별한 잘못이 없고 추심채권자도 문제 삼지 않는 상황에서 추심명령을 이유로 소를 각하하는 것은 분쟁 해결만을 지연시킬 뿐 추심채권자의 이익에 결코 부합하지 않는다"고 했다.

노태악 대법관은 반대 의견을 냈다. 노 대법관은 "추심 명령이 있더라도 채무자가 이행의 소를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유지한다고 보면 추심채권자의 추심권능에 중대한 제약이 초래되므로 추심채권자의 권리 실현을 최대한 보장하고자 하는 민사집행법 취지에 반한다"고 밝혔다.

노 대법관은 "채무자가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고 보더라도 추심채권자가 당사자적격을 승계하므로 추심채권자는 승계참가를 할 수 있고, 제3채무자도 추심채권자에게 소송을 인수하게 할 것을 법원에 신청할 수 있다"며 "소송경제에 현저히 반하는 부당한 결과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당사자들인 추심채권자, 채무자, 제3채무자에게 부당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분쟁의 일회적 해결과 소송경제를 도모할 수 있고 추심채권자의 의사에도 부합하는 추심명령 관련 실무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허재원 기자

Supreme Court Rules "Debtors Can Sue Over Seized Claims"… Changes Precedent After 25 Years

Recognizes Party Qualification… Judges "One-Time Dispute Resolution and Litigation Economy"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debtors can file lawsuits to recover money even for claims subject to seizure or collection orders.

The Supreme Court en banc (presiding Justice Lee Heung-gu) confirmed the lower court's partial victory for the plaintiff on the 24th in an appeal of a damages case filed by Company A against Mr. B.

Company A filed a lawsuit against Mr. B claiming damages for illegal acts and return of unjust enrichment. The lower court ruled that "the defendant shall pay the plaintiff 31 million won and delay damages."

Company C, a creditor of Company A, received a collection order for the money to be received from the lawsuit, and tax authorities also seized it to collect Company A's tax arrears.

Mr. B sought a Supreme Court judgment, arguing that Company A lost party qualification because seizure and collection orders were issued for the money it would receive, based on existing Supreme Court precedents.

The Supreme Court changed the existing precedent and ruled that the debtor does not lose party qualification when filing a performance lawsuit regarding seized claims.

The Supreme Court stated, "Filing a performance lawsuit by a debtor regarding seized claims does not violate the collection order, and there is no legal basis to conclude that the debtor loses party qualification to file a performance lawsuit solely because of a collection order."

The Supreme Court said, "Filing a performance lawsuit by a debtor regarding seized claims is merely exercising one's rights, not actually receiving payment, so it does not violate the seizure and collection order."

The Supreme Court judged that even if the debtor does not lose party qualification, it is difficult to see that unfair results occur for the collection creditor.

The collection creditor can participate in the debtor's performance lawsuit, and even if the debtor receives a final favorable judgment, actual collection is prohibited by the seizure.

If the debtor receives a final unfavorable judgment, the resulting damage belongs to the debtor, and the collection creditor can find other property of the debtor and enforce it.

The Supreme Court judged that even if the debtor does not lose party qualification, the third debtor (a third party with debt) does not bear the risk of double payment and can rather minimize the burden of responding to lawsuits.

The Supreme Court stated, "If we consider that party qualification is lost due to a collection order, even if the lawsuit has been in progress for a long time or a collection order is issued for the first time at the appeal stage, the lawsuit must be dismissed ex officio in principle, so the lawsuit up to that point becomes futile."

The Supreme Court stated, "If the appeal court reverses and remands without substantive judgment on the grounds of loss of party qualification due to a collection order, it can be appealed again for the same reason regarding substantive judgment, and if a new collection order is issued at the re-appeal stage, the same procedure must be repeated, which significantly contradicts one-time dispute resolution and litigation economy."

The Supreme Court stated, "Dismissing the lawsuit due to a collection order when there is no particular error in the substantive judgment of the performance lawsuit filed by the debtor and the collection creditor does not take issue only delays dispute resolution and never conforms to the interests of the collection creditor."

Justice Noh Tae-ak issued a dissenting opinion. Justice Noh stated, "If we consider that the debtor maintains party qualification to file a performance lawsuit even if there is a collection order, it causes significant restrictions on the collection creditor's collection authority, which contradicts the purpose of the Civil Execution Act to maximize the protection of the collection creditor's rights realization."

Justice Noh stated, "Even if we consider that the debtor loses party qualification, the collection creditor succeeds to party qualification, so the collection creditor can participate in succession, and the third debtor can also apply to the court to have the collection creditor take over the lawsuit," adding, "Unfair results that significantly contradict litigation economy do not occur."

A Supreme Court official explained, "The judgm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practice related to collection orders that can achieve one-time dispute resolution and litigation economy without causing unfair results to the parties—collection creditors, debtors, and third debtors—and conforms to the intentions of collection creditors."

Reporter Heo J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