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고양시 버스 준공영제 실행 방안' 주제로 제11회 의정토론회 기년 사진 /고양특례시 의회

■ 16일 제11회 의정토론회...고양연구원 발제

고양특례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공소자)가 10월 16일 제11회 의정토론회를 열고, 고양연구원(원장 김현호)의 발제로 '고양시 버스 준공영제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발제를 맡은 고양연구원 백주현 박사는 "고양시 버스 운송업체의 경영 악화로 운수종사자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시민 이동권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영제의 구조적 악순환을 해결하고 공공주도의 안정적인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선입찰형 준공영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백 박사는 "2024년 7월 기준 고양시 운수종사자는 1,446명으로 적정 인원 2,305명 대비 859명이 부족해 버스 운행률이 67.5%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 의원들 "시범 운영·단계적 도입 검토" 제안

질의응답에서 이철조 의원은 "준공영제 도입이 재정 소요 증가를 수반하지만 배차 간격의 안정화와 운수종사자 근로 여건 개선을 통한 안전 운행 확보 등 필요성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노선 개편 용역 진행 중에도 시급한 민원 노선은 시범 운영을 통해 선제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민경 의원은 "고양시는 승용차 분담률이 60%를 넘는 상황에서 대중교통의 공공성 확보가 시급하다"며 "마을버스 중 본연의 역할을 하지 않는 장대 노선을 정리하고, 교통소외지역 연결 등 실질적 마을버스 기능을 하는 노선부터 단계적 공영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공소자 위원장 "시민 중심 교통 복지 정책 설계 기대"

공소자 기획행정위원장은 "오늘 이 자리가 단순한 제도 검토가 아니라 고양시 교통정책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논의의 장이 되었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준공영제가 진정한 시민 중심의 교통 복지 정책으로 설계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와 정책적 검증이 함께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획행정위원회는 앞으로도 고양연구원과 함께 교통정책 개선을 위한 심층 토론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최종룡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Goyang City Council Holds Forum on Bus Semi-Public Operation Implementation Plan

859 transport workers short... Discussion on route bidding-type semi-public operation system

■ 11th Legislative Forum on 16th... Presentation by Goyang Research Institute

Th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of Goyang Special City Council (Chairman Gong So-ja) announced that it held the 11th Legislative Forum on October 16 and discussed the 'Goyang City Bus Semi-Public Operation Implementation Plan' with a presentation by the Goyang Research Institute (Director Kim Hyun-ho). Dr. Baek Ju-hyun of the Goyang Research Institute, who was in charge of the presentation, said, "There are concerns about a decline in citizens' mobility rights as the departure of transport workers is accelerating due to the worsening management of Goyang City's bus transportation companies." He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route bidding-type semi-public operation system to solve the structural vicious cycle of the private system and provide stable public-l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Dr. Baek stated, "As of July 2024, there are 1,446 transport workers in Goyang City, which is 859 short of the appropriate number of 2,305, resulting in a bus operation rate of only 67.5%."

■ Council members propose "pilot operation and phased introduction review"

In the Q&A session, Assemblyman Lee Cheol-jo said,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the semi-public operation system entails increased fiscal expenditure, the necessity is clear, such as stabilizing dispatch intervals and securing safe operation through improvement of transport workers' working conditions." He suggested, "Even during the route reorganization service, urgent civil complaint routes should be preemptively improved through pilot operation." Assemblyman Jeong Min-kyung emphasized, "In a situation where Goyang City's passenger car share exceeds 60%, securing the public nature of public transportation is urgent" and "We should organize long-distance routes among village buses that do not perform their original role, and consider phased introduction of public operation starting with routes that perform actual village bus functions such as connecting transportation-neglected areas."

■ Chairman Gong So-ja: "Expectations for citizen-centered transportation welfare policy design"

Chairman Gong So-ja of th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said, "I hope that today's gathering has become a forum for newly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Goyang City's transportation policy, not just a simple system review." He stated, "I hope that field voices and policy verification will be carried out together so that the semi-public operation system can be designed as a truly citizen-centered transportation welfare policy." Th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plans to continue in-depth discussions to improve transportation policy with the Goyang Research Institute.

Reporter Choi Jong-r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