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애도시정책연구회현장방문.사진/경기 시흥시의회
경기 시흥시의회 의원 연구회 '모두를 위한 디자인, 무장애 도시 정책연구회'가 13일 강원도 춘천시 '무장애 열린 관광지'를 방문해 벤치마킹을 실시했다.
전문가 강연·토의 이어 현장 방문
연구회는 앞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모두의 약속'을 주제로 한 전문가 초청 강연과 토의를 진행했다.
이번 벤치마킹은 이론과 정책 논의를 실제 현장에서 검증하고 적용 사례를 확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 방문에는 김수연·박춘호 의원을 비롯해 시흥시 관계 공무원, 시흥장애인종합복지관장, 시흥대야종합사회복지관, 시흥시수어통역센터, 시흥장애인자립생활센터, 경기도시각장애인 연합회 시흥시지회 관계자 등 20여 명이 함께했다.
무장애 관광 인프라 현장 점검
'무장애 열린 관광지'는 장애인·노약자·영유아 동반가족 등 모든 이용자가 이동의 불편 없이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된 관광지를 의미한다.
참석자들은 김유정 레일바이크, 낭만열차 등 관광 인프라가 무장애 설계로 조성된 현장을 둘러봤다. 춘천시청 관광정책과 관광협력팀장으로부터 무장애 관광 현황과 성과를 청취했다.
박춘호 의원은 "무장애 도시는 단순히 관광지에 대한 사항이 아니며,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장소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시흥시도 춘천시와 같이 배려와 존중을 바탕으로 포용의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회적 약자 배려하는 성숙한 도시로"
김수연 의원은 "춘천시가 관광지에 무장애 시설을 확충한 사례는 관광 약자에게 평등한 관광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어 매우 긍정적인 행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시흥시 또한 단순히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포용하는 성숙한 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두가 관심을 가져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모두를 위한 디자인, 무장애 도시 정책연구회'는 이번 현장 방문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시흥시의 무장애 도시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준비할 계획이다.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적극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류홍근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Siheung City Council 'Barrier-Free City Policy Research Group' Benchmarks Chuncheon Open Tourist Site
Visit Kim Yu-jeong Rail Bike, etc.…"Toward Inclusive City Based on Consideration and Respect"
Reporter Ryu Hong-geun = The 'Design for All, Barrier-Free City Policy Research Group', a research organization of Siheung City Council members in Gyeonggi Province, visited the 'Barrier-Free Open Tourist Site'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on the 13th for benchmarking.
Field Visit Following Expert Lecture and Discussion
The research group previously conducted an expert invitation lecture and discussion on the theme 'Everyone's Promise for Creating a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This benchmarking was prepared to verify theory and policy discussions in actual field settings and confirm application cases.
The field visit included about 20 people including Council members Kim Su-yeon and Park Chun-ho, Siheung City officials, Siheung Disabled Persons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Director, Siheung Daey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Siheung City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enter, Siheung Disabled Persons Independent Living Center, and officials from the Siheung City branch of the Gyeonggi Province Visually Impaired Association.
Inspection of Barrier-Free Tourism Infrastructure on Site
'Barrier-Free Open Tourist Site' refers to a tourist site created so that all users, including disabled persons, the elderly, and families with infants, can enjoy tourism without inconvenience in movement.
Participants toured the site where tourism infrastructure such as Kim Yu-jeong Rail Bike and Romance Train were created with barrier-free design. They heard about the status and achievements of barrier-free tourism from the Tourism Cooperation Team Leader of the Tourism Policy Division at Chuncheon City Hall.
Council member Park Chun-ho said, "A barrier-free city is not simply about tourist sites, and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all places where we live."
He added, "Our Siheung City should also strive to move toward an inclusive city based on consideration and respect like Chuncheon City."
"Toward Mature City That Considers Socially Vulnerable"
Council member Kim Su-yeon said, "I think Chuncheon City's case of expanding barrier-free facilities at tourist sites is a very positive step in providing equal tourism opportunities to tourism vulnerable groups."
She added, "I ask everyone to pay attention so that Siheung City can also move beyond simply attracting tourists to become a mature city that considers and embraces the socially vulnerable."
The 'Design for All, Barrier-Free City Policy Research Group' plans to prepare policy recommendations for establishing a barrier-free city foundation in Siheung Cit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field visit. The group plans to actively review related system improvement measures.
무장애도시정책연구회현장방문 사진/경기 시흥시의회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