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T 승무원과 역무원들이 고객들에게 정당승차권 이용 문화 정착을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SR 제공

최근 5년간 명절 귀성·귀경길 철도 무임승차가 급증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SR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20~2024년) 명절 철도 무임승차 현황'에 따르면, 명절 연휴 기간 총 6만5319건의 무임승차가 적발됐다.

적발 건수는 코레일 4만6854건, SR 1만8465건으로 최근 5년 설·추석 연휴 41일간 일평균 1593건씩 무임승차가 적발된 셈이다.

이에 따라 징수된 부가운임은 코레일 약 13억3000만원, SRT 6억1790만원 등 총 19억4790만원으로 집계됐다.

경부선이 절반 이상...호남·전라선 뒤따라

정준호 더불어 민주당 의원.사진/ 정준호 의원실

노선별로는 경부선이 3만3938건(10억3500만원)으로 전체 적발건수의 절반이 넘는 51.9%에 달했다. 이어 호남선 1만3493건(4억5700만원), 전라선 5730건(1억6251만원) 순이었다.

특히 명절 연휴 기간 무임승차 적발건수는 최근 5년 사이 두 배 이상(131%) 증가했다. 2020년 9440건에서 2024년 2만1776건으로 급증했다.

올해(2025년) 설 연휴에만 1만219건이 적발돼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부터 부가운임 2배로 인상

이런 가운데 올해 10월부터 승차권을 미소지한 승객은 기존 정상운임의 0.5배에서 1배로 부가운임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철도사업법에 따르면 최대 30배의 부가운임을 징수할 수 있지만, 그간 승객 편의를 고려해 50% 수준만 부과해왔다. 그러나 무임승차가 급증하자 철도 당국이 강경 대응에 나선 것이다.

코레일과 SR은 철도특별사법경찰대와 협력해 주요 역에서 집중 단속과 캠페인을 벌여 부정승차를 근절하겠다는 방침이다.

"증편·단속 강화 등 근본 대책 필요"

정준호 의원은 "열차 예매가 하늘의 별 따기인 명절 기간에 승차권 미소지자의 열차 탑승이 관행적으로 자리 잡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벌금 인상만으로는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열차 증편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 마련 및 단속을 강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무임승차 방법'을 공유하는 게시글이 올라오는 등 부정승차가 일종의 '꼼수'로 확산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