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친화도시' 지정 17개 부서 실무TF 회의 사진/군포시
경기 군포시가 국무조정실 청년친화도시 지정 공모에 올인하고 있다. 지난 1일 군포시는 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실무 TF를 꾸리고 본격적인 공모 대응에 나섰다고 밝혔다.
17개 부서·기관·단체에서 차출된 21명의 실무진. 이들에게 주어진 임무는 명확하다. 청년친화도시 간판을 따내는 것. 그것도 국, 도비 확보라는 실리와 함께.
회의장에서는 군포 청년들의 현실이 나열됐다. '쉬고있음' 청년 증가, 1인 가구 급증, 주거 불안정, 낮은 고용률. 익숙한 단어들이다. 문제는 이 오래된 과제들이 이번에는 얼마나 다르게 풀릴 것인가다.
시는 지난달 급조한 '청년친화도시 조성 조례'를 근거로 주거·일자리·참여 권리 분야 전략과제를 검토했다. 전국 최대 규모라는 청년센터 '청년 공간 플라잉'을 거점으로 내세우며 청년 정주 여건 강화를 강조했다.
5대 중점과제도 화려하다. 노동시장 참여 기회 확대, 청년 안전망 강화, 주거 지원 확충. 예산은 얼마나 뒷받침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 또한 요구되고 있다.
하은호 시장은 "청년 친화도시 지정은 단순히 국, 도비 확보를 넘어서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안정적인 일자리, 감당 가능한 주거비, 실질적인 복지다. 군포시가 청년 친화도시 지정 이후 군포시의 행정에 청년들은 많은 기대와 함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공모는 시작일 뿐이다. 진짜 시험은 지정 이후에 펼쳐진다.
류홍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