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5일 "민생회복지원금을 수도권보다 지방이 많이 받도록 국가의 기본적인 재정 배분에서 이를 원칙이자 당연한 것으로 만들어가려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산 부경대학교에서 열린 '부산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미팅에서 "이번 정부는 이전과는 다르게 국가 자원 배분이나 정책 결정에서 국가 균형 발전을 국가 생존 전략으로 격상시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자원 배분과 정책 결정에서 지방에 대해 (수도권과) 균형을 맞추는 수준이 아니라 지방에 인센티브를 주는, 지방을 더 우대하는 전략으로 가야 비로소 약간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또 "국가 정책 결정에서도 '부울경 메가시티'나 '충청권 메가시티'처럼 지역을 광역화해서 경제적 또는 사회발전에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게 필요할 것 같다"며 "지방 발전 전략을 부산과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빠르게 실행해보자는 생각이 있다"고 했다.
특히 "지금이라도 속도를 내서 (부울경을) 항만물류도시로, 동북아 중심도시로 나아가는 방향을 논의하려 한다"며 "해양수산부를 포함한 관련 국가기관 부산 이전도 가능한 범위에서 신속하게 집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산하기관들과 출자기관들도 최대한 신속히 이전해오도록 하겠다"며 "행정 조치뿐만 아니라 동남권 투자은행, 해사법원 설립 문제도 최대한 시간을 줄여서 신속하게 해볼 생각"이라고 했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은 "부울경 지역은 해양, 조선, 방산을 기반으로 한 제조역량이 굉장히 뛰어난데 인공지능을 통해 경쟁력을 더 키울 수 있다"며 "공연 문화를 포함해 부울경이 기존 산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스마트한 해양 중심의 메가시티 권역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고 있고, 잘 만들어지면 수도권에 버금가는 글로벌 권역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