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의회 박상현 의원, .사진/군포시 의회

군포시의회가 경기도 기초의회 최초로 인공지능(AI) 관련 3개 핵심 조례를 제정하며,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AI 활용과 지원의 제도적 기반을 혁신적으로 마련했다.

18일 제283회 군포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통과된 이번 조례안은 ‘AI 산업 육성 및 지원’, ‘AI 행정 구현’, ‘AI 미래인재 양성’을 각각 주제로 삼아, 군포시가 첨단 기술 중심의 미래도시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3개 조례안은 AI를 산업, 행정, 교육 세 축에서 전략적으로 통합 지원하는 첫 사례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행정 효율성 제고, 인재 양성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를 목표로 한다.

발의자인 박상현 의원(국민의힘, 재궁·오금·수리동)은 “AI는 단순 기술 도입을 넘어 혁신적 활용이 관건”이라며, “군포시가 AI 산업 생태계 구축과 스마트 행정, 미래 인재 양성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지원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군포시 AI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는 AI 기술 기반 신성장 동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한다.

‘AI행정 구현 조례’는 행정 업무의 디지털 전환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도입을 법적으로 명확히 하여 스마트 행정서비스 제공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아울러 ‘AI 미래인재 양성 조례’는 AI 분야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정보 불균형 해소를 위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

군포시는 이미 ‘웨어러블 로봇 실증센터 구축사업’ 등 첨단 융복합 산업을 육성하는 데 주력해 왔으며, 이번 AI 조례들은 이러한 정책 방향과 맞물려 ‘첨단산업 도시’, ‘스마트 행정 도시’, ‘미래교육 도시’라는 삼중 전략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또한, 경기도 내 다른 기초자치단체들에도 모범 사례로 확산되어, 지역 단위 AI 정책의 새로운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박상현 의원은 “혁신 기술은 도입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시민 삶의 질 개선과 경제 활력 증진을 위한 수단”이라며 “군포시가 AI를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시민 중심의 스마트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선도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3개 조례 제정으로 군포시는 AI를 중심으로 한 융복합 산업 생태계 조성과 효율적인 행정 혁신,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포괄적 정책 체계를 구축,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마트 도시 모델로 자리매김할 기반을 확고히 했다.

류홍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