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은행 청라국제도시 지점 .사진/ 시사앤뉴스
4대 주요은행의 임직원이 1년새 1300명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원을 훌쩍 웃도는 '억대 연봉' 시대가 열렸음에도, 디지털·비대면화와 맞물려 인력 감축 속도는 빨라지고있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재된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은행 임직원 수는 총 5만3794명으로 지난해 상반기(5만5066명)보다 1272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532명), KB국민은행(473명), 우리은행(180명), 하나은행(87명)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은행원 숫자가 줄어드는 것은 비대면·디지털화에 따라 은행들이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채용 규모를 점차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비대면 금융 거래가 활성화되고, 영업점 등을 통한 대면 업무가 점차 줄어들면서 인력 구조 개편을 통한 '몸집 줄이기'는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실제 5대 시중은행의 희망퇴직 직원 규모는 매년 2000명 안팎에 달하고 있다. 희망퇴직으로 은행을 떠난 인원은 지난 2022년 2357명, 2023년 2392명, 2024년 1987명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희망퇴직 인원이 2000명을 훌쩍 넘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은행권 희망퇴직 대상자의 연령대는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50대 위주에서 40대로 내려왔고, 일부 은행에서는 30대까지 희망퇴직 대상자에 포함되기도 했다.
은행원뿐 아니라 은행 지점 숫자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4대 은행의 국내 영업점 수는 올 상반기 기준 2708곳으로 1년 전(2834곳)보다 126곳 줄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력 감축과 지점 통·폐합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며 "실적이 좋을 때 충분한 보상을 받고 떠나려는 직원들도 있다"고 전했다.
몸집 줄이기에 나선 은행들의 역대급 실적 행진은 지속 이어지고 있다. 4대 은행의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8조9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1130억원 늘었다.
최종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