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가계·기업이 종전 2차례 금리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대출금리 전달 경로, 가산금리 추이 등을 면밀히 점검해달라"고 주문했다.
1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요청했다.
이 원장은 이날 오전 금감원에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어 이같이 말하고 "연초 수립된 금융사 대출운용 계획을 종합 점검해 금융권의 자금이 중소기업 등 생산적인 분야로 지원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현재 우리 경제가 정치적 불안정성 속에 미국 신정부의 통상정책 변화에 적극 대응하면서 소비심리 회복과 내수 진작에도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현재 금리인하 기대 및 요구가 높음에도 미국의 관세강화·재정적자·통화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인하시기가 지연된 만큼 금융시장·산업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발생 가능한 모든 리스크에 철저히 대비하고 고금리로 어려움이 가중되는 취약부문에 대한 면밀한 대응책을 마련해달라"고 말했다.
또 "가계대출이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도록 관리하면서 실수요자 및 지방경기 활성화 등에 필요한 자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세심히 챙겨 민생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과 함께 5조원 증액한 금융중개지원대출이 저신용 자영업자, 지방 중소기업 등에 적시 공급되도록 점검해줄 것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급격한 환율변동에도 감내할 수 있도록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자본비율을 관리해 금융회사의 자금공급 기능에 차질이 없도록 유의해달라"고 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11월말 국내은행 단기외화차입비중은 19.7%로 1997년 외환위기(87%), 2008년 금융위기(73%) 대비 매우 낮은 수준으로 이 원장은 불필요한 불안감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부실PF에 고착된 자금이 생산적인 분야로 흐를수 있도록 부실정리 실적이 미진한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추가 충당금 적립 및 현장점검을 실시하겠다"며 "부실채권 경·공매가 보다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매각자와 수요자간 정보비대칭을 해소해 신속히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김한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