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

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국회에 보낸 22대 총선 선거구 조정안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됐다.

국회 사무처에 따르면 전국 선거구는 현행대로 253개로, 선거구 획정 인구 기준은 13만 6600명 이상, 27만 3200명 이하다. 또한 6개 선거구가 통합되고 6개 선거구가 분구된다. 서울과 전북에서 각 1석이 줄었고 인천·경기에서 각 1석이 늘었다.

서울의 경우 노원구 갑·을·병 지역이 노원구갑·을로 통합된 데 영향을 받았다.

인천에서는 서구갑·을이 서구갑·을·병으로 분구되며 1석이, 경기에선 3개 지역 분구가 이뤄지고 2개 지역 합구가 이뤄지면서 1석이 늘었다. 경기 평택시갑·을은 평택시갑·을·병으로 1석 늘었다.

국민의힘은 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국회에 보낸 22대 총선 선거구 조정안을 두고 "큰 틀에서 동의한다"고 밝혔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상훈 의원은 "정당별 유불리의 문제가 아니라 인구변화에 따른 상하한 기준에 맞춰 획정된 안이라 큰 틀에서는 동의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의장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조정된 안이고 이미 공개된 안"이라며 "경계 조정은 여야가 같이 고민해 볼 문제"라고 설명했다.

"국회의장과 국회는 선거구 획정위의 획정안을 존중해 조속히 순천을 분구하는 내용의 선거구획정안을 확정해야 한다"며 "저와 국민의힘도 순천의 분구가 확정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선거구획정위에 따르면 내년 총선에서 6개 선거구가 통합되고 6개 선거구가 분구된다.

서울 노원, 부산 남구, 경기 부천·안산, 전북, 전남 등 6곳의 선거구가 1곳씩 줄어들고 부산 북구, 인천 서구, 경기 평택, 하남, 화성, 전남 등 6곳에서는 1곳씩 늘어난다.

더불어민주당은 획정안이 제출되자 "국민의힘 의견만 반영된 편파적인 안으로 결코 수용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조정식 사무총장과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영배 의원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강남구를 합구하지 않고 전북을 1석 줄이는 안을 편파적으로 결정했다"며 행정구역 내 인구수 대비 선거구 수가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허재원 기자 news7cat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