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반도체 산업 84.7% 차지하는 경기도

경기도가 반도체 설계부터 양산, 연구, 인재양성까지 전 주기를 갖춘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하며 K-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산업은 세계시장 점유율 18.5%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는 국내 반도체 산업의 부가가치액 84.7%, 매출액 76%를 차지하고 있는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심장이다.

민선8기 경기도는 한국이 가진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성남수원화성용인안성평택이천을 잇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조성 중이다. 사업은 경기 남부권에 산재한 반도체 산업 단지를 하나로 묶어 대규모 반도체 생산, 연구, 인재 양성,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까지 갖춘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 삼성·SK하이닉스 주도 600조 원 투자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핵심 단지는 삼성전자가 진행 중인 용인 이동·남사(728만㎡, 360조 원)와 평택 고덕(390만㎡, 120조 원), SK하이닉스가 진행 중인 용인 원삼(415만㎡, 122조 원) 반도체 클러스터다. 2047년까지 약 600조 원의 민간투자가 계획된 곳으로 완성되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단지가 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2023년 정부가 용인 이동·남사 지역을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지정한 직후 반도체 지원 전담기구(TF)를 구성해 시군 협의, 주민 의견 청취, 기업 애로사항 해결 등 신속한 행정 지원을 제공했다. 삼성의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는 통상 4년이 소요되는 산업단지 계획 승인기간을 1년 9개월로 단축시켰다. 올해 하반기 토지 보상을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 산업단지 조성공사 착공, 2031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30년 말 첫 번째 반도체 팹(Fab) 가동을 계획 중이다.

SK하이닉스의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도 현재 토지·지장물 보상이 대부분 완료됐으며, 공정률 70.5%로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

◆ 판교·수원·안성 등 설계·연구·생산 거점 구축

판교(팹리스 클러스터), 수원(R&D파크), 이천(제조·SK하이닉스), 안성(소부장 특화단지)에는 용인과 평택을 연계한 설계와 연구, 생산, 소재, 부품, 장비, 인재 양성 기관들이 속속 자리를 잡고 있다.

경기도는 팹리스 기업과 지원시설을 제3판교테크노밸리에 유치해 판교 팹리스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제2판교테크노밸리에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를 설립해 팹리스 기업이 첨단 기술장비와 전문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7일에는 제1판교테크노밸리에 경기도 팹리스 아카데미를 개소해 팹리스 기업 인력 수요에 맞춘 맞춤형 교육을 통해 반도체 설계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수원에는 광교테크노밸리 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 반도체 신제품 개발과 기술 실증, 전문인력양성을 담당할 경기도 반도체기술센터가 문을 열었다. 안성에는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로 2023년 7월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동신리 등 일원 157만㎡ 부지에 동신 일반산업단지가 지정됐다. 올해 6월 산업단지계획 승인 신청이 접수되어 행정절차가 진행 중으로 2030년 말까지 준공과 기업 입주를 마칠 예정이다.

◆ 세계 4대 반도체 장비회사 유치 성공

세계적 반도체 기업들도 경기도에 자리를 잡으면서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촉진시키고 있다. 경기도는 미국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네덜란드의 ASML, 미국의 램리서치, 일본의 도쿄일렉트론(TEL) 등 세계 4대 반도체 장비회사의 생산시설과 연구개발(R&D)센터 유치에 성공했다.

세계 최대 반도체 노광장비 기업인 ASML은 화성 동탄에 첨단 극자외선(EUV) 클러스터를 조성했으며,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인 AMAT도 오산시에 차세대 R&D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다. 도쿄일렉트론은 화성에 연구개발센터를 완공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으며, 미국 램리서치의 코리아테크놀로지센터는 용인시 지곡 일반산단에 입주했고, 오산에 반도체 제조공장을, 성남시에 반도체 판매와 유통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의 K-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전략은 국내를 넘어 세계 반도체 산업의 중심으로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견인하는 프로젝트"라며 "투자 유치, 인재 양성, 기술 인프라 구축, 신산업 연계까지 전방위적 노력이 진행 중이며, 이는 한국 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홍근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Gyeonggi Province Creates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Mega Cluster…600 Trillion Won Investment

Connecting 7 cities from Seongnam to Pyeongtaek…Production, research, and talent cultivation ecosystem by 2047

◆ Gyeonggi Province accounts for 84.7% of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

Gyeonggi Province is designing the future of the K-semiconductor industry by creating the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mega cluster with the entire cycle from semiconductor design to mass production, research, and talent cultivation.

South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ranks second in the world with an 18.5% global market share. Gyeonggi Province is the heart of South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accounting for 84.7% of the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s added value and 76% of sales.

The 8th popularly elected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is creating the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mega cluster connecting Seongnam-Suwon-Hwaseong-Yongin-Anseong-Pyeongtaek-Icheon to protect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competitiveness. The project unifies scattered semiconductor industrial complexes in southern Gyeonggi to create a semiconductor ecosystem with large-scale semiconductor production, research, talent cultivation, and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companies.

◆ 600 trillion won investment led by Samsung and SK Hynix

The core complexes of the semiconductor mega cluster are Samsung Electronics' Yongin Idong-Namsa (7.28 million㎡, 360 trillion won) and Pyeongtaek Godeok (3.9 million㎡, 120 trillion won), and SK Hynix's Yongin Wonsam (4.15 million㎡, 122 trillion won) semiconductor clusters. With approximately 600 trillion won in private investment planned until 2047, it is expected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production complex when completed.

Immediately after the government designated the Yongin Idong-Namsa area as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candidate site in 2023, Gyeonggi Province established a dedicated semiconductor support task force to provide rapid administrative support including city-county consultations, resident opinion surveys, and corporate issue resolution. Samsung's advanced system semiconductor cluster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hortened the industrial complex plan approval period from the usual four years to one year and nine months. Starting with land compens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industrial complex construction is scheduled to begin in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and be completed in 2031. Samsung Electronics plans to operate its first semiconductor fab at the end of 2030.

SK Hynix's semiconductor cluster general industrial complex has also mostly completed land and obstacle compensation and is proceeding without setbacks at a 70.5% progress rate.

◆ Establishing design, research, and production bases in Pangyo, Suwon, and Anseong

In Pangyo (fabless cluster), Suwon (R&D park), Icheon (manufacturing, SK Hynix), and Anseong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specialized complex), design, research, production, materials, parts, equipment, and talent cultivation institutions linking Yongin and Pyeongtaek are gradually establishing themselves.

Gyeonggi Province is attracting fabless companies and support facilities to the Third Pangyo Techno Valley to build a Pangyo fabless cluster. In September last year, it established a system semiconductor development support center in the Second Pangyo Techno Valley to enable fabless companies to utilize advanced technology equipment and professional personnel. On the 7th, it opened the Gyeonggi Province Fabless Academy in the First Pangyo Techno Valley, planning to cultivate semiconductor design professionals through customized education tailored to fabless company workforce demands.

In July last year, the Gyeonggi Province Semiconductor Technology Center opened in Suwon at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thin Gwanggyo Techno Valley to handle semiconductor new product development, technology demonstration, and professional workforce cultivation. In Anseong, the Dongshin general industrial complex was designated in July 2023 on a 1.57 million㎡ site in Dongshin-ri, Bogae-myeon, Anseong-si, Gyeonggi Province as a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specialized complex. The industrial complex plan approval application was submitted in June this year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underway, with completion and company occupancy planned by the end of 2030.

◆ Successfully attracting world's top 4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Global semiconductor companies are also establishing themselves in Gyeonggi Province,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a semiconductor ecosystem. Gyeonggi Province successfully attracted production facilities and R&D centers of the world's top four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Applied Materials (AMAT) from the United States, ASML from the Netherlands, Lam Research from the United States, and Tokyo Electron (TEL) from Japan.

ASML, the world's largest semiconductor lithography equipment company, established an advanced extreme ultraviolet (EUV) cluster in Dongtan, Hwaseong, and AMAT, a semiconductor and display equipment company, is also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a next-generation R&D center in Osan. Tokyo Electron completed its R&D center in Hwaseong and began full-scale operations, and Lam Research's Korea Technology Center moved into the Jigok general industrial complex in Yongin, with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lant in Osan and semiconductor sales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 Seongnam.

Governor Kim Dong-yeon stated, "Gyeonggi Province's K-semiconductor mega cluster strategy is a project that drives the future of South Korea as the center of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beyond the domestic level," adding, "Comprehensive efforts including investment attraction, talent cultiv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new industry linkage are underway, and this will become a core asset that determines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emiconductors."

Reporter Ryu Hong-geun